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화기내과 김은선 교수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류주희 박사 연구팀과 함께 대장암 치료 반응 예측을 예측할 수 있는 표지자 'Cetux-probe'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대장암 세포주에 세툭시맙과 'Cetux-probe'를 각각 투여하고, 세툭시맙 치료 결과에 대한 'Cetux-probe'의 형광 강도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Cetux-probe'의 형광 강도가 클수록 세툭시맙의 치료 효과가 우월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연구는 'Cetux-probe'의 형광세기를 통해 세툭시맙의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전이성 대장암 치료에 사용되는 시간과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편, 이번 연구 'Predicting response to anti-EGFR antibody, cetuximab, therapy by monitoring receptor internalization and degradation'은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 'Biomaterials'에 최근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