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5G 가입자 증가세 둔화…3000만 목표 달성 가능할까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23-02-08 09:36 | 최종수정 2023-02-08 09:41


5G 가입자 증가세가 둔화됐다. 통신업계는 지난해 5G 상용화 4년을 맞아 연내 가입자 수 3000만명을 넘기기 위해 노력해지만 목표치를 넘기지 못했다. 품질 논란, 고가 위주 요금제 구성, 알뜰폰 중심의 LTE 가입자 성장 등이 발목을 잡았다. 품질 개선 및 고객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요금제 출시 등이 5G 가입자 수 3000만 돌파의 관건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5G 가입자 수는 2805만9900여명이다. 전년 동월 대비 714만4000여명 늘었다. 2020년 12월 말 1185만1000여명에서 2021년 12월 말 2091만5000여명으로 906만4000여명 늘었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작아졌다.

통신업계는 5G 가입자 수 증가 폭이 줄고 있지만 현 추세대로라면 연내 가입자 3000만명 돌파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일각에선 마냥 낙관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가입 시장의 포화, 저렴한 요금에 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뜰폰으로 20∼30대 등 이용자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4G 알뜰폰(MVNO) 가입자 수는 1163만3000여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9만2000여명 가량 증가했다. 무제한 요금제 등장 등으로 '가성비'를 중요하게 여기는 젊은층과 중장년층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만큼 향후 가입자 수는 더욱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5G 가입자 수 확대를 위해선 기존 고가 위주의 요금제가 아닌 중간 요금제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현재 추세대로라면 연내 5G 가입자 수 3000만명 돌파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최근 5G 가입자 수 증가가 주춤한 것은 IT 기술 발전 등에 따른 소비자의 4G와 5G 간 체감 속도 차이 폭이 줄었고, 품질 논란과 함께 고가 요금제에 대한 부감감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내놓은 중간요금제와 달리 소비자가 만족할 만한 수준의 추가적인 요금제 개편이 가입자 수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