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여성이 근골격계 질환인 '경추간판장애'(M50), 이른바 목 디스크에 가장 많이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따르면 2018년 환자 수는 여성이 52만7986명으로 남성 43만921명보다 22.5% 많았다.
10만명당 전체 환자 수는 1878명이었다.
여성 10만명당 환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3918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3842명), 70대(3533명), 40대(2443명)등의 순이었다.
남성 10만명당 환자의 경우엔 60대(3312명), 70대(3230명), 50대(2864명), 80대 이상(2276명) 등이었다.
2018년 진료비는 2690억원으로, 환자 1인당 진료비는 28만497원이었다.
남성 1인당 평균진료비(30만3990원)가 여성(26만1323원)보다 15.9% 더 많았다.
최근 5년간 목디스크 환자 추이를 보면, 2014년 87만1133명에서 2018년 95만8907명으로 2014년 대비 10.1%(연평균 2.4%)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성은 2014년 37만9203명에서 2018년 43만921명으로 13.6%(연평균 3.3%) 증가했고, 여성은 같은 기간 49만1930명에서 52만7986명으로 7.3%(연평균 1.8%) 늘었다.
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형외과 박융 교수는 50대 이후 연령대의 목디스크 환자 유병률이 높은 이유에 대해 "일반적으로 50세를 전후로 디스크의 수분함량이 감소되는 퇴행성 디스크 질환의 발병률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머리와 몸통사이의 체중부하의 분배를 원활하게 하지 못해 디스크의 탈출증이 증가하게 되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한 80대 이상의 급격한 증가세에 대해 박 교수는 "평균수명의 증가로 인해 경추부의 디스크 및 경추체간의 관절에 퇴행성변화로 인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라면서 "고령이라는 측면으로 치료 및 진단에서 소외되기 보다는, 보다 적극적으로 목디스크에 대한 치료 및 진단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평균수명의 증가와 이에 따른 유병률의 증가로 80대 이상에서 퇴행성 변화로 인한 목디스크의 진료 행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이어 "목 디스크의 예방을 위해 수면을 취할 때, 가능하면 낮고 말랑말랑한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책을 읽거나 책상에서 업무를 할 때에는 시선이 너무 아래에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면서 "30분에서 1시간마다 가볍게 목을 뒤로 젖히는 운동을 하는게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