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서울 아파트 1분기 전세가율 상승…"매매가 하락이 상승세 이끌어"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20-03-09 12:10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가율은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값 비율을 뜻한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율 상승은 매매가격 하락 영향을 받은 결과로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게 부동산업계의 분석이다.

9일 직방이 국토부 아파트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전세가율의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의 1분기 전세가율은 59.9%로 조사됐다. 지난해 4분기 56.9% 대비 3%가 늘었다. 지난해 12월 16일 부동산 안정화 대책 이후 정부의 각종 규제가 계속되며 실거래 감소와 매매가 하락 등이 전세가율 상승을 이끌었다는 게 직방의 분석이다.

경기도의 1분기 전세가율은 71.5%를 기록, 지난해 4분기 68.2% 대비 3.3%p 올랐다. 반면 인천은 작년 4분기 70.2%에서 1분기 67.4%로 전세가율이 하락했다. 매매거래가 줄긴 했지만 서울, 경기 서남권과 인접해 있어 입지가 좋은 단지 중심으로 거래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와 기타지방도 1분기 전세가율이 각각 72.6%, 73.9%로 4분기보다 상승했다.

서울 구축아파트도 4분기 가격 상승 부담으로 급매물이나 저렴한 매물위주로 거래가 진행되면서 전세가율이 4분기 56.9%에서 1분기 59.9%로 상향 조정됐다. 다만 신축아파트에 비해서 조정폭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경기 신축아파트 전세가율은 1분기 68.6%로 지난 4분기 71.5%보다 소폭 하락했다. 신규 아파트 입주물량이 많아 전세시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직방은 서울 등 수도권 전세가율이 매매가격 하향 조정의 영향으로 당분간 오름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직방 측은 "전셋값이 오르는 것과 달리 매매가격 하향 조정으로 전세가율이 오르는 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