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월에 자전거 사고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주의가 더욱 요구된다.
일 년 중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5∼6월로 5월에 4234명, 6월에 4263명이 응급실을 찾았다. 7월부터 10월까지는 매달 3000명대의 환자가 발생했다.
응급실에 온 환자의 17.8%는 입원을 했고, 0.3%는 병원 도착 전 사망하거나 응급실 내에서 사망했다. 60세 이상은 사망률(1.2%)과 입원율(37.0%)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환자 가운데 헬멧을 착용한 비율은 14.3%에 그쳤다. 20∼59세 성인의 착용률은 23.5%였지만 19세 미만은 5.6%로 차이가 컸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자전거 사고 부상은 자전거에서 떨어질 때 생기는 골절, 피부 찰과상, 타박상, 열상이 대부분인데 골절이 발생하면 부목으로 고정한 후 가까운 병원으로 이동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머리 부상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호장구 착용 교육 및 지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