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520d 등 14개 차종 1만5802대가 환경부의 결함시정(리콜) 명령을 받았다.
환경부에 따르면 BMW 520d, MINI 쿠퍼 D 클럽맨 등 21개 경유차 모델은 배출가스재순환장치(EGR) 제작 불량, X5 M 등 2개 휘발유차 모델은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내부 부품인 환기라인 재질의 내구성 저하가 확인됐다.
배출가스재순환장치는 연소된 배출가스를 연소실로 재유입시켜 연소 온도를 낮추어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이는 부품이고,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는 크랭크케이스 내 블로바이가스(엔진 연소실 구조물의 틈새로 일부 흘러 잔류하는 가스)를 흡기계통으로 유도하는 장치다.
기아차 '모하비' 경유차량은 환경부가 10월 출고 전 차량 중 1대를 임의 선정해 수시검사를 한 결과, 배출가스자기진단장치(OBD) 감시기능이 제때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배출가스자기진단장치는 센서 신호들을 분석해 배출가스 관련 부품의 오작동 여부를 진단하고, 오작동 발생시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다.
기아차는 18일부터 자발적으로 해당 차량의 출고와 판매를 정지했다.
환경부는 이날 모하비 차종에 판매정지와 함께 기존 판매차량의 결함시정을 명령했다. 또한 올해 6월부터 판매된 4045대분을 대상으로 매출액의 1.5%인 27억원을 과징금으로 부과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과징금 상한액이 1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상향 조정된 대기환경보전법 개정안의 첫 적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포드 경유차인 '포커스 1.5' 6대의 경우에는 환경부가 임의 선정해 배출허용기준 준수 여부를 수시 검사한 결과, 6대 모두 질소산화물 배출허용기준인 0.08g/㎞를 초과한 양을 배출, 불합격 판정을 받았다. 이들 차량의 질소산화물 농도는 0.087∼0.154g/㎞였다.
이에따라 환경부는 지난달 27일 포커스 1.5 차종에 신차 판매정지와 함께 이미 팔린 차량과 재고차량 209대에 결함시정명령을 내렸다.
포커스 1.5와 모하비를 각각 판매·제작한 포드코리아와 기아차는 환경부에 결함시정계획서를 제출, 기술 검토를 거쳐 승인을 받은 후 해당 차량 소유자에게 결함시정 안내문을 발송할 예정이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