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4명은 거짓 결근을 한 경험이 있었으며, 월요일에 가장 많이 결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근한 요일은 '월요일'(26.3%), '금요일'(20.4%), '수요일'(18.8%), '화요일'(16.7%), '목요일'(13.4%) 등의 순으로, 주말과 함께 연달아 쉬는 경우가 많았다.
결근을 위해 했던 거짓말 1위는 52.3%가 선택한 '몸이 아프다'였다. 뒤이어 '집에 급작스러운 일이 생겼다'(25.4%), '가족, 친지 등 경조사가 있다'(9.1%), '은행업무 등 중요한 개인용무가 있다'(6.9%) 등의 순이었다.
이들은 '쉬기 전 미리'(38.4%) 회사에 말하기보다는, '당일 아침'(61.3%)에 급작스럽게 연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동료의 거짓 결근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응답자의 70.8%는 동료의 결근 사유를 거짓말이라고 의심한 경험이 있었다. 이에 대한 생각은 '나도 쉬고 싶기에 이해된다'(49.3%)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 상사인 직장인(1,295명)의 64.5%는 부하직원이 거짓 결근을 한 것 같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지만, 대부분(89.8%)은 '모르는 척 해줬다'라고 답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