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관성 어깨탈골'이 일어났을 때 정확한 진단 없이 영화에 나오는 이소룡처럼 자가 교정을 시도하거나 정골(뼈 맞추기)요법을 받았다간 자칫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같히 조심해야 한다.
과거에는 어깨와 팔을 많이 쓰는 야구선수나 테니스선수들에게서 주로 발생했으나 최근 몸짱 열풍으로 웨이트트레이닝을 즐기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보통사람들에게서도 그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 바벨이나 덤벨을 이용한 상지운동을 많이 하는 20~30대 남성들에게서 발병률이 높은 편이다.
일단 슬랩병변 소인이 있으면 관절와순의 손상으로 인해 상완골의 결합력이 약화된다. 이로 인해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누가 살짝 잡아당기는 것만으로도 탈구가 나타나기 쉽다. 또 어깨가 빠질 것 같은 느낌과 덜컹거리는 불안정성이 심해지고 근력도 떨어질 수 있다.
일산하이병원 김영호 병원장은 "슬랩병변은 보통 조영검사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 이상소견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어깨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고 손상유형마저 다양해니 관절내시경을 통해 병변부위를 영상장치로 직접 관찰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며 "관절와순 외에도 뼈의 탈구상태, 퇴행성 변화여부, 파열의 크기, 주변 인대 및 혈관 등의 상태 등 종합적인 진단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슬랩병변으로 확진되면 손상 초기에는 도수치료나 물리치료 같은 보존적 방법이 적용된다. 수술적 치료는 파열이 심하고 관절와순이 뼈 사이에 걸려 움직일 경우 적용된다. 이때는 어깨에 2~3개의 작은 구멍을 뚫고 내시경을 이용한 관절와순 봉합수술 후 꾸준한 재활과 물리치료가 병행돼야 한다.
관절와순을 비롯해 연골조직은 다치는 않는 것이 상책이다. 한 번 손상되면 자연회복이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슬랩병변 예방을 위해서는 우선 수건이나 밴드를 이용해 어깨를 교차시키거나 회전시키는 스트레칭을 생활화하는 것이 좋다.
일단 어깨탈골이 발생하면 자가 교정을 시도해서는 절대 안 된다. 김영호 병원장은 "자칫 무리하게 어깨를 맞췄다가는 오히려 인대, 근육, 혈관 등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뼈가 부셔지면서 골절상을 입을 수 있다"며 "이때는 수건이나 붕대 등을 이용해 어깨를 고정시킨 다음 최대한 빨리 가까운 의료기관으로 후송하는 것이 2차 손상을 예방하는 지름길"이라고 당부했다.
임정식 기자 dad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