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울산=스포츠조선 김성원 기자]2023년 오늘, K리그는 '홍명보의 시대'다.
우승의 환희는 미소에서 묻어났다. 다만 감흥은 지난해와는 또 달랐다. "우승을 확정지은 후 A매치 브레이크와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 등으로 약 한 달 반의 시차가 있다. 그렇다보니 지난해보다 감정이 조금 덜 한 것 같다." 그래도 입가에는 한껏 여유가 흘렀다.
물론 그 순간을 잊은 것은 아니다. 챔피언의 감격은 여전히 달콤하다. 홍 감독은 "올해는 특별히 좋았던 게 홈에서 우승한 것이다. 그 날의 분위기는 강원에서 우승을 한 작년과는 분명 달랐다. 지금은 모든 것이 즐겁고, 재밌다"며 웃었다.
|
|
|
홍 감독은 "굉장히 힘들었다. 나름대로 리더십 공부를 정말 많이했다. 대중들이 나에게 느끼는 것은 카리스마다. 하지만 난 장점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좀더 섬세한 것들이 있는데 밖에서 볼 때는 화내고, 욕하는 것들만 나온다"며 웃은 후 "그 전에 선수들을 이해시키고, 설득시키는 과정도 있는데 그것은 재미가 없어서 안 나온다. 내가 경험한 모든 것을 총망라해 지휘한다. 그래서 더 좋았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시즌 막판 전북 현대와 포항 스틸러스 경기가 우리 팀에는 전환점이 됐다. 스리백 전술로 바꿔서 져서는 안되는 경기에서 승점을 따낸 게 우승의 동력이 됐다. 겸손하지 않으면 많은 사람들에게 실수가 일어날 수 있고, 실수를 통해 많은 것들을 잃게 된다. 그전부터 알았지만 또 많이 느꼈다. 겸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1년 울산의 지휘봉을 잡은 홍 감독을 바라보는 시각 중에는 '선수빨'이라는 시샘도 있다. 이 또한 더 이상 대수롭지 않다. "팀에 좋은 선수가 많으면 좋은 점은 훈련이 수월하다는 점뿐이다. 그것이 꼭 승리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울산이 17년 동안 왜 우승하지 못했는지를 안에서 느꼈고, 이제는 말할 수 있다. 2년 동안 있으면서 응집력을 만드는 데 제일 많은 시간 투자를 했고, 결과를 냈다. 그것을 '형님 리더십'이라고 얘기할 수는 없다. 여러가지 형태의 울산에 맞는 리더십이 주효했다."
|
|
|
홍 감독은 20세 이하, 아시안게임, 올림픽, A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클럽팀은 또 다르다. 그는 "나도 이 팀에 와서 성장했다. 매일 보는 선수에게 맨날 동기부여를 줄 순 없다. 스스로 약올림의 대상이 돼야 한다. 첫 해는 경험적 측면에서 팀 문화가 이렇게 돌아가는구나를 느꼈다면 지난해 본격적으로 칼을 댔다. 필요한 부분은 더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반면 필요없는 부분은 단칼에 잘라냈다. 지금 우리 선수단에 가장 중요한 것은 태도다. 팀 문화를 받아들이는 선수들의 태도가 바뀌었다"고 말했다.
|
|
|
한 번 정상은, 영원한 정상이다. 울산의 내년 목표는 K리그1 3연패다. 새 물결도 예고했다. "3연패에 대한 노력은 당연하다. 새로운 도전도 필요하다. 우리는 다른 팀에 비해 패배에는 더 혹독하고, 조롱거리가 된다. 빠른 축구를 통해 더 강해져야만 한다. 또 팀이 성장할 수 있는 유산을 만들기 위해 한 발 더 나아가고 싶다. 그 철학에 맞게 선수 구성도 변화돼야 한다."
울산=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