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WC 흔히 볼 수 있는 '펄펄 나는 막내-주춤한 에이스' 왜일까

김가을 기자

기사입력 2022-11-24 16:16 | 최종수정 2022-11-25 11:47


사진=EPA 연합뉴스

사진=EPA 연합뉴스

[스포츠조선 김가을 기자]2001년생 부카요 사카, 2003년생 주드 벨링엄(이상 잉글랜드), 2004년생 파블로 가비(스페인). 전 세계 축구팬들이 관심을 갖는 '재능'들이 빛났다. '밀레니얼 막내들'이 생애 첫 번째 월드컵에서 데뷔전-데뷔골을 터트렸다. 반면, '득점기계'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34·폴란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페널티킥까지 놓치며 월드컵에서 유독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펄펄 나는 막내-주춤한 에이스 조합은 월드컵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4년 전에도 마찬가지였다. 2018년 러시아월드컵에선 1998년생 킬리안 음바페가 폭발적인 힘을 발휘했다. 혜성처럼 등장해 프랑스를 정상에 올려놓았다. 반면, 리오넬 메시(35·아르헨티나)는 기대만큼 활약을 펼치지 못했다. 프랑스와 상대한 16강에서 도전을 마감했다. 특히 메시는 월드컵에서 유독 약한 모습을 보였다. 무득점, 페널티킥 실축 등 명성에 맞지 않는 모습이었다.

에이스들이 특히 흔들리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 이아름 울산 현대 전담 상담사는 "월드컵에 출전할 정도면 실력은 보장돼 있다. 심리적인 부분이 중요하다. 월드컵은 전 세계인이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대회인 만큼 긴장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아무리 잘 하는 선수라도 긴장을 할 수밖에 없다. 특히 기대를 많이 받는 선수일수록 본인이 책임져야 하는 부분이 많아 부담이 될 수 있다. 흔히 말하는 '왕관의 무게를 견뎌야 한다'는 게 바로 이럴 때 통용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심리적인 부분으로 '될 선수'와 '될 수 없는 선수'가 갈리는 것일까. 운명의 장난이라고 치부하기에는 너무나도 가혹하다.


사진=AP 연합뉴스

사진=AFP 연합뉴스
윤영길 한국체육대학교 교수(스포츠심리학 박사)는 심리 외적인 부분을 집중해 분석했다. 차이를 만드는 첫 번째 이유는 '정보의 양'이다. 윤 교수는 "메시, 레반도프스키 등은 '드러난 존재'다. 전 세계에서 그들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판단했을 것이다. 상대는 이들을 막기 위해 집중한다. 선수들이 편하게 뛸 수 없을 것이다. 반면, 이번 대회에서 골을 넣은 사카 등은 비교적 분석이 덜 된 상태다. 기술, 전술 등 노출이 덜 돼 있다. 상대가 모든 것을 대비하고 대응하기에는 쉽지 않다. 혹시 읽히더라도 순간적인 탄력이 좋다"고 말했다.

에이스들의 '흔한' 페널티킥 실축 상황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윤 교수는 "필드골은 연속된 움직임으로 만들어낸 것이다. 앞뒤에서 골을 만들어내는 것을 다 봐야한다. 반면, 페널티킥은 불연속 상황이다. 경기를 중단한 뒤 재개한다. 키커는 물론이고 골키퍼에게도 선택지는 하나다. 키커에게도 쉬운 장면은 아니다. 여기에 상대 골키퍼의 숙련도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더욱이 나이가 들면서 퍼포먼스도 노화가 진행된다. 키커로 나선 선수들에게도 미세한 시간 차이가 생기는 것이다. 메시는 이번 대회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페널티킥 골을 기록했다. 사실 킥의 질 자체가 깔끔하지는 않았다. 메시가 타이밍으로 상대를 잡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가을 기자 epi17@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