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C서울이 첫 판에서 눈물을 흘렸다.
이날 데얀과 아드리아노 투톱 조합을 재가동했다. 변함없는 3-5-2 시스템이었다. 중앙 미드필더는 역삼각형이었다. 다카하기와 주세종이 공격형, 오스마르가 수비형 미드필더에 포진했다. 좌우 윙백에는 고광민과 고요한이 위치했다. 스리백에는 김동우 김원식 김남춘, 골문은 유상훈이 지켰다.
전반 초반 탐색적인 치열했다. 그러나 이내 어이없는 결승골이 터졌다. 전반 14분이었다. 수비수 모리와키의 롱크로스가 왼쪽 미드필더 우가진에게 배달됐다. 우가진은 다시 크로스를 하기 위해 볼에 발을 갖다댔다. 빚맞은 듯 했다. 하지만 볼은 포물선을 그리면서 거짓말처럼 서울의 골대 구석에 꽂혔다.
최 감독은 후반 시작과 함께 데얀 대신 박주영을 투입했다. 후반 21분 세트피스 상황에서 오스마르의 회심은 왼발 슈팅은 크로스바를 훌쩍 넘겼다. 후반 26분에는 주세종 대신 1m96의 장신 심우연이 교체 투입됐다. 그러나 골문은 야속했다. 골망은 끝까지 흔들리지 않았다. 후반 37분 박주영의 프리킥과 후반 43분 아드리아노의 슈팅은 끝내 골라인을 통과하지 못했다.
최 감독은 "많은 기회를 우리도 만들었다. 그러나 상대의 위험지역에서 세밀함이 부족했다. 우리의 공격진은 충분히 위력적인데, 그래서 아쉽다"고 했다. 그리고 "오늘 우리팀의 에이스인 데얀의 컨디션이 썩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반대로 최근 컨디션이 좋아지는 선수가 박주영이다. 아드리아노와 박주영을 투톱으로 반전을 시도했다. 중앙의 오스마르와 다카하기 두 미드필더에게도 공격 호흡을 맞추도록 주문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결과는 되돌릴 수 없다.
서울은 25일 우라와를 홈으로 불러들여 16강 2차전을 치른다.
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