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法 판결 충격" 뉴진스, 'K팝 피해자' 외신플레이 그만! 이젠 책임질 시간[SC이슈]

백지은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3-27 13:35


"法 판결 충격" 뉴진스, 'K팝 피해자' 외신플레이 그만! 이젠 책임질…

[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그룹 뉴진스의 '책임질 시간'이다.

뉴진스는 법원이 어도어의 가처분 신청을 인용한 것에 반발해 활동 중단을 선언, 외신 플레이로 자신들을 '피해자'이자 '희생양'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중의 반응은 싸늘하다. 법원 판단에 따라 계약을 이행하고, 더이상의 피해자 코스프레와 얼굴 바꾸기를 멈추라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法 판결 충격" 뉴진스, 'K팝 피해자' 외신플레이 그만! 이젠 책임질…
뉴진스는 26일 영국 BBC 뉴스 코리아에서 "지난 1년 동안 우리가 내린 결정과 선택은 다섯 명이 모두 동의한 것이다. 만약 한명이라도 원치 않는다면 우리는 하지 않을 거라고 말한다. 2024년 이 상황을 겪으며 모든 걸 조용히 감추려 했지만 폭발할 것 같은 지경까지 왔다"고 법적 분쟁을 선택한 이유를 밝혔다.

또 법원의 가처분 신청 인용 결정에 대해서는 "모두 충격 받았다. 우리가 유명하고 하고 싶은 대로, 말하고 싶은 대로 다 할 수 있는 위치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 수 있지만 참고 참다 이제 겨우 저희가 겪은 부조리함에 대해 목소리를 냈는데 유리하게 흘러가고 있지 않다. 더이상 활동할 수 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그건 가장 피하고 싶은 일"이라고 말했다.

뉴진스는 법원 판결 직후 미국 타임에 "법원 판결에 실망했다. 아마도 이게 한국의 현실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변화와 성장이 필요하다. 한국은 우리를 혁명가로 만들려는 것 같다"고 인터뷰를 해 '혐한 논란'에 휘말린 바 있다.

뉴진스는 자신들의 뜻대로 돌아가지 않는 상황이 K팝 산업 전체, 나아가 대한민국의 고질적인 문제라고 유수의 해외 매체에 호소하고 있다.


"法 판결 충격" 뉴진스, 'K팝 피해자' 외신플레이 그만! 이젠 책임질…
그러나 대중의 반응은 싸늘하다. 우선 소송 과정에서 드러난 반전이 있었다.

21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50부(수석부장판사 김상훈)는 어도어가 멤버들을 상대로 제기한 기획사 지위보전 및 광고 체결 등 금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면서 어도어가 전속계약을 위반했다는 멤버들의 주장을 모두 인정하지 않았다.


뉴진스가 이번 소송에서 주장한 전속계약 해지 사유는 총 11가지.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의 해임으로 인한 프로듀싱 공백 우려, 박지원 전 하이브 CEO가 '뉴진스 멤버들에게 긴 휴가를 줄 것'이라고 발언한 것, 신우석 돌고래유괴단 감독과 어도어의 분쟁, '뉴 버리고 새로 판 짜면 될 일'이라고 적힌 하이브 음원리포트(2023년 5월 10일자), 빌리프랩 소속 아일릿이 뉴진스 고유성 훼손, 빌리프랩 소속 매니저가 하니에게 "무시해"라고 한 것, 뉴진스 멤버들의 연습생 시절 사진과 영상 유출, 하이브 PD 담당자의 뉴진스 성과 폄하 발언, 하이브의 음반 밀어내기 관행으로 뉴진스 성과가 평가절하됨, 하이브와 어도어의 민 전 대표에 대한 보복성 감사로 뉴진스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형성됨, 이재상 하이브 CEO가 '뉴진스 브랜드 가치를 훼손시켜 민희진과 뉴진스를 같이 날리는 것까지 생각하고 있다'고 발언한 것 등이다.

특히 멤버들은 하니가 아일릿 매니저로부터 "무시해"라는 말을 들은 것은 '직장 내 괴롭힘'이라고 주장하는 라이브 방송을 했고, 하니는 국정감사에 출석해 눈물을 쏟기도 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이중 어떠한 것도 사실로 인정하지 않았다.


"法 판결 충격" 뉴진스, 'K팝 피해자' 외신플레이 그만! 이젠 책임질…
더욱이 뉴진스와 민 전 대표는 하이브로부터 부당대우를 받았다며 르세라핌과 아일릿을 수차례 언급했던 바 있다. 하이브가 약속과 달리 뉴진스보다 르세라핌을 먼저 데뷔시키고, 아일릿은 뉴진스의 콘셉트를 표절했으며, "무시해" 사건까지 있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하니는 BBC 뉴스 코리아와의 인터뷰에서 "솔직히 말해서 계속해서 이 이야기를 꺼내는 게 편치 않다. 다른 팀의 이야기가 포함돼 있고 우리는 그 팀에 어떤 영향도 주고 싶지 않다. 그럴 이유도 필요도 없다"고 입장을 바꿨다.

무엇보다 뉴진스의 성공이 멤버들과 민 전 대표만의 힘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애초 하이브가 210억원이라는 거금을 태우지 않았다면, 뉴진스의 데뷔 프로모션 스케일도 달라졌을테니 말이다. 더욱이 뉴진스는 활동 1년 만에 50억원씩 정산도 받았다. K팝 아이돌 중에서는 그야말로 드문 VVIP 대우를 받은 셈이다.


"法 판결 충격" 뉴진스, 'K팝 피해자' 외신플레이 그만! 이젠 책임질…
그럼에도 뉴진스는 계약 해지를 일방적으로 선언했고, 어도어와의 대화 자체를 거부했다. 법원이 계약 해지 사유를 모두 인정하지 않았지만, 법원 판결을 무시하고 해외 언론에 K팝과 한국 시스템 및 국민 정서에 대한 불편한 이야기를 쏟아내고 있다.

이에 여론도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네티즌들은 '그들은 한국 사회나 K팝 시스템의 피해자가 아니다. 오히려 수혜자에 가깝다(@jhh****)', '국내 최초 혐한아이돌 타이틀 획득(Wlwimf****)', '타임지에 이어 BBC까지 권력을 누리고 있다(딸바보****)', '자신들이 원하는 결과가 아니면 다 부당한 거냐(blackmoonlight****)', '이정도면 뉴진스는 국가권력급(장구름****)', '괴롭힘은 아일릿과 르세라핌이 뉴진스 때문에 받았다(이******)', '이제 무섭다. 사회적 규칙이나 통념, 법까지 무시하며 본인들이 원하는 것만 피해자 코스프레 하나로 밀어붙이고 있다는 게 소름돋는다(김******)'라는 등 비난을 쏟아냈다.


백지은 기자 silk781220@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