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작품의 힘' 가능성 보여준 뮤지컬 '밀사-숨겨진 뜻'(서울시뮤지컬단)

김형중 기자

기사입력 2017-05-31 14:50


◇'작품의 힘'을 바탕으로 가능성을 보여준 창작 뮤지컬 '밀사-숨겨진 뜻'. 사진제공=서울시뮤지컬단

세종 M씨어터에서 공연 중인 뮤지컬 '밀사-숨겨진 뜻'(연출 김덕남)은 내용상 '명성황후'와 '영웅'을 잇는, 시련의 근대사를 배경으로 한 창작뮤지컬이다.

'밀사'는 헤이그 밀사사건의 세 주역 가운데 한 명인 이위종(1887~?)을 뮤지컬 무대 위에 부활시킨다. 그런데 이위종은 누구인가?

그는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이상설, 이준과 함께 헤이그에 파견된 특사 중 한 명으로 통역을 맡았다. 왕족 출신으로 미국, 러시아 공사를 역임한 아버지 이범진을 따라 11살 때부터 세계를 돌아다닌 덕분에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 7개의 언어에 능통했다고 한다. 그가 헤이그에 파견된 때가 1907년, 그의 나이 고작 스무살이었다.

이 작품은 신세대 젊은이이자 요즘말로 '금수저 중의 금수저'인 이위종의 내면적 고뇌에서 출발한다. 한심한 조국의 현실에 실망해 '난 조선이 싫다'고 외치던 젊은이가 조금씩 독립운동가로 변모해가는 과정을 20세기 초반 혼돈의 역사를 배경으로 역동적인 드라마에 담는다. 척박한 상황에서 힘겹게 독립운동을 이어가는 가운데, 러시아 지식인 여성 엘리자베타와의 가슴 아픈 사랑이 곁들여진다.

'밀사'는 일단 흥미롭다. 명성황후나 안중근 의사, 그리고 이상설, 이준 열사에 비해 일반에 덜 알려진 이위종이란 인물의 삶 자체가 매우 드라마틱하기 때문이다. 독립운동가라고 하면 이따금 범접하기 힘든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왜 왕족 출신에, 기성세대를 혐오하던 젊은이가 독립운동에 뛰어들었을까'라는 인간적 차원에서 접근한 덕분에 시대적, 시간적 간격을 넘어 지금의 관객과도 쉽게 소통된다.

여기에 파워 넘치는 강렬한 록을 바탕으로 발라드를 가미한 송시현의 음악, 오세혁의 감성적인 대사와 노랫말, 그리고 관록의 연출가 김덕남의 템포 빠른 장면 전개가 어우러지면서 한 편의 세련된 뮤지컬로 태어났다. 흔히 근대사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 한없이 무거워지기 쉬운데 진지함을 잃지 않으면서 뮤지컬의 생동감을 살려 극적 긴장감을 유지했다.

후반부에서 자주 반복(reprise)되는 아리아 '반짝이는 것'은 감미롭다. 기억에 남는 멜로디가 있다는 것은 뮤지컬의 미덕이긴 하나 너무 자주 반복된다. 적절한 변주를 거쳐 유기적으로 활용되었다면 좋을 듯 싶었다.

주인공 이위종 역을 맡은 배우 허도영은 신인임에도 탁월한 가창력과 섬세한 감정표현, 매력적인 음색을 뽐내며 드라마의 중심축을 잡았다. 비슷한 공공예술단체인 서울예술단이 박영수 조풍래 김도빈 등을 배출한 반면 서울시뮤지컬단은 최근 이렇다할 스타를 만들어내지 못했다. 매력과 에너지를 지닌 허도영은 '가뭄속의 단비'처럼 보였다.

흥미진진했던 스토리는 결론에 이르러 이위종의 허무한 죽음으로 막을 내린다. 힘이 좀 빠진다. 역사적 팩트 때문이기도 하겠으나 시련이 있으면 어떤 형태로건 극복의 장치가 있어야 균형이 맞지 않을까. 11일까지.
김형중 기자 telos21@sportschosun.com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