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뮤레전드, '대작' 포장 대신 '콘텐츠-서비스'에 집중

최호경 기자

기사입력 2017-04-03 15:07





많은 개발비가 투입되거나 오랜기간 개발된 게임들 앞에는 흔히 '대작'이란 수식어가 붙기 마련이다. 개발규모가 크면 클수록 그 자체만으로도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기 마련이다.

여름에 개봉하는 블록버스터 영화가 완성도와 관계없이 '블록버스터이기 때문에' 관심을 받는 것처럼 대작 게임들은 게임의 완성도와는 별개로 '대작이기 때문에' 관심을 받기도 한다. 출시 전부터 유저들의 관심을 끌어야 하는 게임사 입장에서 자사의 게임이 대작이라는 점을 뚜렷하게 어필하는 경우가 있다.

앞서 말한 기준에 비추어 보면 뮤 레전드는 대작이란 수식어를 붙일 수 있는 게임이다. 개발기간 약 4년, 개발비 규모는 300억 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2001년 출시되어 엄청난 인기였던 뮤 오리진의 정식 후속작이란 타이틀까지 갖고 있으니 소위 말하는 '대작'의 구성요소는 충분히 갖추고 있다.

하지만 정작 뮤 레전드를 개발하고 서비스 하는 웹젠이 뮤 레전드 출시 전에 보인 행보는 이러한 시류와는 다소 동떨어졌다. 게임의 개발비 혹은 개발기간을 강조하지 않는 것은 물론, 화려한 수식어로 게임을 설명하는 일도 없었다.

최근 몇 년간 대작을 내세운 게임 중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둔 게임이 드물었기에, 웹젠의 이러한 행보는 오히려 눈길을 끈다.

물론 뮤 레전드가 과거 '대작'으로 지목된 게임들보다 다소 적은 비용이 투입된 게임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온라인게임 시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전작과의 연관성과 모바일게임 시장에서도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 IP 연관성조차 스스로 내세우지 않는 것은 다소 의외다.

출시 전 담담한 행보를 거둔 덕분인지, 뮤 레전드의 출시 후 성과는 더욱 파격적으로 다가온다. 출시 일주일 만에 PC방 점유율 순위 10위(30일 기준)를 달성한 게임은 근래 출시된 온라인게임 중 찾아볼 수 없다.

때로는 화려한 미사여구보다 담담하고 교과서적인 행보를 보이는 것이 효과적일 때가 있다. 뮤 레전드의 행보는 이러한 사례로 대표하는 또 하나의 예시다. 뮤 레전드의 기세가 어디까지 이어질 것인지 관심을 갖고 지켜보자.

게임인사이트 김한준 기자 endoflife81@gameinsight.co.kr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