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시범 운영으로는 경기 시간 단축 효과가 미미하다. 내년부터 정식 시행이 된다고 해도 초반 혼란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사실 아직은 시범 운영이기 때문에 현재 대부분의 구단들이 예민하게 주의를 기울이고 있지는 않다. 주심도 초반 구두 경고에서, 단순한 수신호 정도로 경고 과정을 더 간소화 하다보니 경기 중 위반 여부가 눈에 확 도드라지지 않는다.
그래도 신경이 안 쓰이는 것은 아니다. 각 구단 투수들은 "아직 패널티가 없다고는 해도 눈에 숫자(시계)가 보이니까 내심 신경이 쓰이기는 한다"고 입을 모았다.
|
아직까지 시범 운영만으로는 효과는 없는 상황이다. 22일 기준 연장 포함, 2024시즌 경기당 평균 소요 시간은 3시간 13분. 지난해 3시간16분에서 3분 줄어들었는데, 시즌 후반으로 갈 수록 보통 경기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큰 차이가 없다고 봐야 한다. 물론 지난해에 비해 심해진 타고투저 시즌임을 감안해야 한다.
평균 경기 시간이 3시간 20분을 넘겼던 2013~2018시즌에 비하면, KBO리그는 '스피드업' 캠페인으로 10분 가량 평균 시간을 줄이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2020시즌 이후로는 3시간 13분의 벽을 좀처럼 깨지 못하고 있다.
내년부터 피치클락이 정식 도입되면 경기 시간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투수에겐 볼, 타자에겐 스트라이크 패널티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
올 시즌 퓨처스리그에서는 피치클락이 정식 시행되고 있는데 전체 위반 횟수가 6121번 중 타자 위반이 2793번(포수 위반 67번)으로 거의 절반에 가깝다.
메이저리그에서도 피치클락이 정식 도입된지 두번째 시즌을 보내고 있음에도 여전히 피치클락 페널티와 관련한 항의 장면을 종종 볼 수 있다. 스포츠조선 설문에서도 피치클락에 대해 "시기상조", "조금 더 유예 기간을 길게 적용해 적응 시간을 충분히 가졌으면 좋겠다"는 목소리가 절반에 육박할 정도로 여전히 찬반이 갈리는 문제다.
하지만 시범 운영만으로는 경기 시간 단축 효과가 거의 없는 상황 속 피치클락 정식 도입이 경기 시간 단축의 획기적 카드가 될 수 있을까. 일찍부터 철저하게 준비하는 팀이 최후의 승자가 될 전망이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