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절실함은 부상의 공포도 잊게 했다.
사연이 있었다. 강로한은 롯데가 0-1로 뒤지던 7회말 1사 2루에서 동점 적시타를 만들었고, 조홍석의 볼넷 출루와 상대 실책이 더해져 3루까지 진루했다. 신본기의 타격 결과에 따라 역전 결승 득점을 올릴 수도 있었던 상황. 하지만 신본기가 3루수 땅볼에 그친 사이 강로한은 머뭇거렸고, 귀루를 택했지만 두산 3루수 허경민에게 태그 아웃됐다. 신본기까지 1루 송구로 아웃되면서 추격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는 더블 플레이 상황이 만들어졌다. 전진 수비에 나선 허경민과 공교롭게 그쪽으로 곧바로 간 타구 방향상 운이 없었다고 볼 수도 있었지만, 찰나의 순간 강로한의 판단이 조금 더 빨랐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었다. 이런 7회말의 기억이 강로한의 사구 상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자기 관리는 프로 선수의 실력 척도 중 하나다. 때문에 허슬플레이와 무모함이 구분되기도 한다. 공에 무릎을 갖다댄 강로한의 플레이는 자칫 큰 부상으로 연결될 수도 있었다는 점에서 후자에 가깝다. 그러나 스스로의 실수를 만회하고자 하는 마음가짐, 어떻게든 팀이 분위기를 이어갈 수 있는 발판을 만들고자 하는 염원이 만든 장면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롯데는 고비 때마다 실책, 견제사 등 본헤드 플레이를 연발하며 무너지기 일쑤였다. 최하위로 떨어진 뒤에도 근성-더그아웃 리더 부재 등 우려와 아쉬움의 목소리가 뒤따랐다. 자신의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몸을 내던진 강로한의 모습은 어쩌면 롯데가 그토록 찾고 싶어하는 근성의 한 단면일지도 모른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