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PO] LG 배터리, 왜 박석민 몸쪽 승부 고집했나

김용 기자

기사입력 2016-10-25 22:29


LG와 NC의 2016 KBO 리그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 4차전이 25일 잠실구장에서 열렸다. 7회초 NC 박석민이 좌측담장을 넘어가는 역전 솔로홈런을 날렸다. 스윙 후 타구를 바라보는 박석민.
잠실=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16.10.25/

왜 또다시 몸쪽 직구로 승부했을까.

NC 다이노스와 LG 트윈스의 플레이오프 4차전이 열린 25일 잠실구장. 양팀의 팽팽하던 승부는 7회초 박석민의 결승 솔로포로 끝이 났다. 1-1 상황 1점을 달아나는 홈런이었지만, 상대가 자신들의 흐름을 끊기 위해 앞당겨 투입한 에이스 데이비드 허프를 상대로 홈런을 때려냈으니 그 충격은 1점 이상이었다. 사실상 여기서 승부는 갈렸다. 힘빠진 허프는 김성욱에게 통한의 쐐기 투런포까지 맞았다.

여기서 드는 궁금증 하나. 박석민이 홈런을 친 공의 코스와 구종이다. 박석민은 허프의 149km 몸쪽 높은 직구를 기다렸다는 듯이 받아쳤다. 맞는 순간 홈런임을 직감할 수 있는 큰 타구. 허프의 빠른 몸쪽 직구를 상대로 이런 타구를 만들어냈다는 것은, 노림수 좋은 박석민이 이 코스 직구를 노리고 있었다는 뜻밖에 안된다.

그런데 허프 상대 박석민의 홈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2일 창원 2차전에서도 박석민은 잘던지던 허프를 상대로 결승 투런포를 때려냈다. 그 때도 몸쪽 직구였다. 박석민은 경기 후 "허프가 몸쪽 직구를 잘 던지더라. 그래서 바깥쪽 체인지업이 들어오면 삼진 먹는다는 생각으로 몸쪽 직구만 기다렸다"고 당시 홈런 상황을 설명했다.

그런데 이 타자에게 볼카운트 1S 상황서 다시 몸쪽 승부가 들어갔다. 장타력이 없는 다른 타자였다면 모를까, 박석민이라면 넓은 잠실이라도 충분히 넘길 수 있는 힘이 있기에 주의를 기울이는 게 맞았다. 여기에 2차전 피홈런 힌트가 있었는데도 다시 같은 코스 홈런을 허용한 점은 아쉽기 그지 없다.

공교롭게도 쐐기포를 때린 김성욱 역시 박석민 때와 같은 똑같은 몸쪽 높은 직구였다. 김성욱도 몸쪽을 기다렸다는 듯 스탠스를 오픈하고 제대로 받아쳤다. 여기에 공까지 높다보니 장타가 나올 확률은 더욱 높았다. 허프만이 던질 수 있는 우타자 몸쪽 직구, 그 강력한 무기가 이번 시리즈에서만큼은 집중 공략 대상이 돼버리고 말았다.


잠실=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