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2년차 막내 kt, 어떻게 수원의 팀으로 거듭났나

김용 기자

기사입력 2016-09-27 08:04


2016 프로야구 KBO리그 kt위즈와 KIA타이거즈 경기가 11일 수원 KT위즈파크에서 열렸다. 휴일 맞아 많은 관중들과 붉은 노을을 배경으로 양팀의 열띤 경기가 펼쳐지고 있다.
수원=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2016.09.11/

kt 위즈와 KIA 타이거즈의 경기가 열린 25일 수원 케이티위즈파크. 2만 관중이 꽉 들어찼다. 주말이지만, 보통 다음날 출근을 해야하는 일요일 경기는 매진을 기록하기 쉽지 않다. 그런데도 kt는 시즌 3번째 매진 기록을 만들어냈다.

물론 전국구 인기팀 KIA의 역할이 컸다. 치열한 4위 경쟁을 벌이는 KIA가 정규시즌 마지막 수도권 경기를 펼치니, 그 경기를 놓치기 싫은 팬들이 많이 모였다. 그래도 kt 입장에서 고무적이었던 건, 단순히 KIA의 힘으로 매진 기록을 만들어낸 것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kt 유니폼을 입고, 하얀 막대 풍선을 든 홈팬들이 1루 내야 관중석을 가득 메웠다. 외야, 그리고 홈플레이트 뒤 관중석에도 kt팬들이 충분히 많았다. 경기만큼 치열했던 응원전에서 결코 밀리지 않는 힘을 수원 kt 홈팬들이 보여준 것이다.

kt는 23일 SK 와이번스와의 홈경기를 치르며 의미있는 기록을 세웠다. 지난 시즌 역대 신생구단 첫 시즌 최다인 64만5465명의 관중을 넘어 65만55명이라는 새 기록을 달성한 것이다. 여기에 KIA전 2만의 관중이 더 들어왔다. 또, 내달 5일 한화 이글스와의 홈 최종전도 남아있다.

올시즌 평균 관중은 9000명을 훌쩍 뛰어넘었다. 올스타 브레이크 이후부터 부진하며 계속 최하위권에 맴돌았지만, 관중 변화는 크지 않았다. 꾸준히 팬들이 경기장을 찾았다. 단순 성적을 떠나, 위즈 야구단이 수원에 확실히 정착했다고 얘기할 수 있는 증거다.

단순 숫자만이 아니다. kt 김준교 사장은 "KIA전이 열리는 동안 관중석을 쭉 둘러봤다. 응원단상 주변은 당연히 응원 열기가 뜨겁다. 그런데 깜짝 놀란 것은 4층, 외야쪽 관중분들께서 더 뜨거운 응원을 보내주시는 모습을 봤다. 우리 구단을 상징하는 응원가를 불러주시고, 율동을 따라해주시는 모습에 감동이 밀려왔다"고 말했다. 홈경기 뿐 아니라 원정경기까지 전 경기를 현장에서 지켜보는 팬들도 있고, 사람들의 관심이 많지 않은 퓨처스리그 경기까지 항상 현장에서 챙겨보는 팬들도 있다고 한다. 1군 생활 2년이라는 짧은 시기지만, 그만큼 팬들의 충성도도 높아졌다.

노력 없이 이뤄지는 건 없다. kt는 '축구도시'라고 인식되는 수원팬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애썼다. 팬들이 경기장을 찾고싶게 할 수 있는 요소들을 찾았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워터 페스티벌. 무더운 여름 물대포를 쏘아올리는 이벤트로 2년째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했다. 선배 구단인 삼성 라이온즈 등이 유사한 이벤트를 따라할만큼 참신한 시도였다. 지역 마케팅도 소홀하지 않았다. 지역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프로야구단 직업 체험 및 콘텐츠 제공을 통해 야구와 kt에 관심을 갖게 했다. 상대적으로 야구에 관심이 적은 주부팬들을 대상으로 '위즈맘 페스티벌'을 기획해 지속적인 홍보를 했다. kt 직원들은 시장, 주민센터, 부녀회 등을 찾아 kt를 적극적으로 알렸다.

또 kt에서 오래 뛰지는 않았지만 선수 생활을 마친 장성호, 신명철의 은퇴식을 마련해 선수와 팬들 모두에 뜻깊은 시간을 만들어줬다. 부상으로 조기 귀국하게 된 외국인 선수 앤디 마르테와 팬들이 직접 작별 인사를 나누고 서로 눈물을 흘리는 휴먼 스토리로 보는 이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만들기도 했다.

팬들은 이기는 경기, 화끈한 공격 야구에 환호한다. 관중 동원의 가장 큰 동력이다. 하지만 야구 경기 외적으로도 구단이 세심한 배려를 하고, 정성을 들인다면 팬들이 경기장을 찾게 된다는 것을 kt가 잘 보여줬다.


김 사장은 "올시즌 마지막 경기까지 홈팬들께 더 좋은 서비스를 해드릴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내년에도, 그 이후에도 팬서비스에 있어서는 최고라는 말을 들을 수 있는 kt 구단을 만들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페이스북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