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룡영화상후보작

스포츠조선

꿈의 '1점대 평균자책점', 50~70이닝에 달려있다

이원만 기자

기사입력 2013-05-27 17:10 | 최종수정 2013-05-28 06:27


SK 와이번스와 KIA 타이거즈의 2013 프로야구 경기가 15일 광주구장에서 열렸다. SK 선발 세든이 힘차게 공을 던지고 있다.
광주 =정재근기자 cjg@sportschosun.com/2013.05.15/

프로야구 투수들에게는 두 가지 '꿈의 목표'가 존재한다. 달성하기만 하면 누구나 인정하는 '최고 투수'로 우뚝 설 수 있는 목표다. 그러나 이를 성취하기란 마치 '하늘의 별따기'나 마찬가지다. 30여 년의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에서 돌이켜보면 이 목표를 끝내 달성하지 못한 채 은퇴한 선수들이 대부분이다. 둘 중 하나만 달성한 이도 드물거니와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한 인물은 한 손으로 꼽을 정도다. 이 '꿈의 목표'는 바로 '한 시즌 20승'과 '1점대 이하 평균자책점'이다.


KIA와 NC의 2013 프로야구 주말 3연전 마지막날 경기가 26일 광주 무등구장에서 열렸다. 5회초 1사 1루 KIA 양현종이 NC 지석훈을 병살로 처리하며 이닝을 마무리한 후 기뻐하고 있다.
광주=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13.05.26/
9구단 체제, 목표달성 호기라는데…

그런데 현역 투수나 투수 출신 감독, 코치들에게 물어보면 이 두 가지 '꿈의 목표' 중에서 '1점대 이하 평균자책점'을 더 선호한다는 대답이 주를 이룬다. 승수보다 평균자책점이 투수의 능력을 더 잘 표현하고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투구 내용이 안좋더라도 운이 따르면 승수를 챙길 수도 있지만, 평균자책점은 투수의 경기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평균자책점에서 수비진의 기여도를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확실히 승수 보다는 평균자책점이 투수의 능력을 더 잘 보여주는 편이다.

역대로 한 시즌에 규정이닝을 채운 투수 중에서 1점대 이하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사례는 총 25번이었다. 또 이보다 더 달성하기 어려운 '0점대 평균자책점'도 있었다. 현재 KIA 사령탑을 맡고 있는 선동열 감독이 해태 현역 시절인 1986년과 1987년 그리고 1993년에 '0점대 평균자책점'을 달성했다. 특히 선 감독은 1986년(24승, 평균자책점 0.99)과 89년(21승, 평균자책점 1.17) 그리고 1990년(22승, 평균자책점 1.13) 등 세 차례에 걸쳐 20승 이상과 1점대 이하 평균자책점을 동시에 달성하기도 했다. 프로원년인 1982년에도 당시 OB에이스 박철순이 24승에 1.84의 평균자책점을 남긴 바 있다.

가장 최근에 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한 것은 2010년 당시 한화 소속의 류현진(LA다저스)이었다. 류현진은 프로 5년차였던 2010시즌에 192⅔이닝 동안 39자책점을 내줘 평균자책점 1.82를 기록했다. 이는 1998년 정명원(현대, 1.86)과 임창용(해태, 1.89)이후 12년 만에 나온 기록이었다. 류현진 이후에는 다시 1점대 평균자책점 투수가 나오지 않고 있다. 그만큼 어렵다.

프로야구 현역 감독과 해설위원들은 올 시즌이 '1점대 평균자책점'을 되살릴 수 있는 호기라고 한다. 홀수구단 체제의 특성상 휴식 일정이 발생하는데, 결과적으로는 이런 점이 투수들, 특히 각팀의 에이스급 선발들에게 매우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현역 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의견이니 꽤 설득력이 있다.

현재 페이스로 보면 어떨까. 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 중인 투수가 3명이나 된다. SK 세든이 1.72(68이닝, 13자책점)로 단독 선두인데, 그 뒤를 양현종(1.79, 55⅓이닝, 11자책점)과 삼성 윤성환(1.90, 52이닝 11자책점)이 따르고 있다. 팀당 40~42경기를 치른 것을 기준 삼아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확실히 올해 투수들의 평균자책점 관리가 잘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에는 경기수가 비슷한 시기에 1점대 평균자책점 투수가 1명도 없었다.


11일 포항야구장에서 프로야구 삼성과 KIA의 경기가 열렸다. 삼성 윤성환이 6회까지 무실점 투구를 펼치고 있다. 6회를 마치고 마운드를 내려오고 있는 윤성환.
포항=송정헌 기자 songs@sportschosun.com/2013.5.11
1점대 이하 평균자책점, 50~70이닝이 관건


그렇다면 '평균자책점 1점대 이하'라는 꿈의 기록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할까. 한국 프로야구에서 뛰었던 11시즌에서 모두 1점대 이하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면서 프로야구 유일의 '통산 평균자책점 1점대(1.20)'의 기록을 갖고 있는 선동열 감독은 후배들을 위해 자신의 노하우 한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바로 "50~70이닝 사이의 고비를 잘 넘겨라"는 조언이다. 선 감독은 자신의 현역 시절을 돌아보며 "내 경우에는 1점대 평균자책점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50~70이닝 사이에 매우 집중했었다. 시즌 중반에 접어드는 시점인데, 이때 평균자책점을 1점대에 맞춰놓으면 후반에 좀 더 편안하게 던질 수 있었다"고 했다.

평균자책점은 '(자책점X9)/이닝'으로 계산되는데, 50~70이닝 사이에는 한 경기에서 자책점을 줄이고 긴 이닝을 던지면 평균자책점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앞선 경기에서 많은 실점을 했더라도 집중력을 키워 다음 경기에 잘 던지면 평균자책점 관리를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만약 시즌 중반 이후에 누적이닝이 많아지게 되면 평균자책점 변동폭도 크지 않다. 그래서 관리가 쉽지 않다.

선 감독은 "이제 선발들이 50이닝을 막 넘기고 있는 시점이 됐다. 이 시기에 잘 집중해서 꾸준한 경기력을 보이면 1점대 평균자책점도 분명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과연 올 시즌 '1점대 이하 평균자책점 투수'가 탄생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