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위원장 이병진·이하 사감위)의 전자카드제 확대시행 권고안이 결국 확정됐다. 그러나 곳곳에서 허점이 드러나면서 '졸속강행' 논란이 일고 있다.
불완전 제도 시행의 피해는 사업체와 서민에게 전가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 국내 합법 사행산업은 매출 감소 직격탄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사감위가 확대시행 권고안을 확정하면서 2018년 전면도입 문구를 뺀 게 그나마 희망적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최근 불거진 반대 여론에 잠시 주춤했을 뿐, 불씨는 여전히 살아 있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생체정보(지정맥)를 포함하는 전자카드제가 확대 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신분노출, 개인정보유출 불안감도 더욱 커지게 됐다. 사행산업계는 전자카드제 확대에 이은 전면도입이 매출 감소와 관련 종사자 대량해고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996년부터 10년 간 이용자 자율에 맡긴 전자카드제를 실시하던 독일이 실명정보 등을 담은 '의무적 전자카드제'를 도입한 뒤 시행 1년여 만에 매출이 5억1000만유로(약 6100억원)에서 2억5800만유로(약 3086억원)로 반토막 난 사례도 있어 불안감은 증폭되고 있다.
이에 대해 사감위의 관계자는 "(전자카드제 도입 확대시행) 방향이 결정됐기 때문에 결정된 대로 (후속대책을) 추진해 나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복권사업 및 외국인 카지노 제외 지적을 두고는 "기재부가 입장을 표명한 것일 뿐, 사감위 정책에 영향은 없다"며 "외국인 카지노가 (전자카드제 도입) 대상에서 제외되긴 했으나, 외국인 도박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이 감지되면 그때 추진해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