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수컷이 후손 더 많이 남겨…억제력·공간학습 능력 등 연관"

김소형 기자

영문보기

기사입력 2025-02-26 10:25


"똑똑한 수컷이 후손 더 많이 남겨…억제력·공간학습 능력 등 연관"
이미지=픽사베이

똑똑한 수컷이 후손을 더 많이 남기는 것이 물고기 실험에서 확인됐다.

26일 과학 저널 네이처 생태학 및 진화(Nature Ecology and Evolution)에 발표된 호주국립대(ANU) 이반 비노그라도프 박사팀의 연구결과다.

연구팀은 수컷 모기고기(mosquitofish)의 지능을 테스트하고 이들의 짝짓기와 새끼 수를 조사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모기 유충을 잡아먹어 모기고기(Gambusia holbrooki)로 불리는 작은 물고기의 수컷들을 이용해 지능과 성적 선택에 따른 번식 능력의 연관성을 조사했는데, 먼저 미로 탐색, 투명 장벽 우회하기, 다양한 색깔의 여러 장소 기억하기 등 수중 실험을 통해 수컷 모기고기의 인지 능력을 테스트하고, 이들을 11개의 야외 연못에 배치해 짝짓기 경쟁을 하게 했다. 네 가지 표준 인지 과제를 수행하게 하고, 다섯 가지 인지 수행 지표를 정량화했다.

실험에서 암컷들이 낳은 새끼 2430마리의 유전자형을 분석해 친부 관계를 조사한 결과, 지능 테스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수컷들이 지능이 낮은 수컷들보다 더 많은 암컷과 짝짓기하고 새끼를 더 많이 낳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억제력이 뛰어나고 공간 학습 능력이 좋은 수컷이 훨씬 많은 새끼를 낳은 반면 초기 충동 억제 능력이 뛰어난 수컷은 새끼 수가 훨씬 적었다. 다만, 연합 학습 및 반전 학습 능력은 연관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동물 지능 진화는 문제 해결 능력이 생존에 유리해 나타나는 자연 선택이 원동력으로 여겨져 왔으나 이 연구는 '똑똑함'이 이성에게 매력 요소로 작용해 나타나는 '성적 선택'(sexual selection)이 지능 진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모든 인지 능력에 성적 선택이 작용한 것은 아니었고, 지능 수준에 따른 수컷들의 짝짓기 행동 차이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