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고소득층 걷기·유산소·근력운동 더 활발…'운동 빈부격차' ↑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25-01-30 15:12


소득에 따른 '운동 빈부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경향은 걷기·유산소 운동·근력 운동 등 신체활동 전반에서 모두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의 '202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주일 동안 걷기를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성인은 44.5%로 집계됐다. 소득 수준별로 5분위로 나눠 보면, 저소득 그룹과 고소득 그룹의 차이가 10%포인트(p) 이상으로 소득이 높을수록 걷기 실천율이 높았다. 소득 수준이 낮은 '하' 그룹에선 39.1%에 그쳤고, '중하' 44.6%, '중' 43.8%, '중상' 45.3%, '상' 49.2% 등이었다. 2014년 조사에서 2%p(소득 '상' 43.7%, 소득 '하' 41.7%)였던 격차가 9년만에 5배로 벌어진 것이다.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한 사람의 비율인 '유산소신체활동 실천율'에서도 소득간 격차가 확대됐다. 19세 이상 전체 성인에선 52.5%인데 소득 '하' 그룹에선 48.3%, '상' 그룹에선 57.2%로 8.9%p 차이가 났다. 이 역시 2014년엔 3.6%p(소득 '상' 55.8%, 소득 '하' 59.4%)였는데 차이가 커진 것이다. 특히 남성에서는 실천율 차이가 13.3%p로 더 크게 벌어졌다.

최근 일주일간 근력운동을 2일 이상 실천한 분율인 '근력활동 실천율'(성인 전체 27.3%)도 소득 '하' 그룹 21.4%, '상' 그룹 32.8%로, 고소득층이 11.4%p 더 높았다. 이 역시 2014년엔 고소득층(23.2%)과 저소득층(18.0%)의 차이가 5.2%p였는데 최근 더욱 벌어졌다.

이같은 소득 수준에 따른 운동 실천율 격차가 소득에 따른 건강 격차를 악화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는 대목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code:04oY
device:MOB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