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타르아시안컵이 한창인 가운데 부상 선수들도 속출하고 있다.
발목, 염좌 및 피로골절 발생 위험 높아
발목 관절이 안쪽과 바깥쪽으로 꺾이며 인대 손상이 생기는 발목 염좌는 통증이 경미하면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지만 발목 인대 일부분 혹은 전체가 찢어지면 심한 통증 및 부종과 함께 멍이 생기고 보행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완전 파열이면 인대 봉합과 재건 치료를 받아야 한다.
발목에 가해지는 압박으로 피로골절(스트레스 골절)도 생길 수 있다. 피로골절은 지속되는 자극으로 뼈에 스트레스가 쌓여 뼈 조직에 실금 같은 미세 골절 현상을 말한다. 통증이 심하지 않지만 증상이 반복되는 특징이 있지만 휴식과 안정을 취하면 회복 가능하다. 증상 정도에 따라 부목, 석고 고정을 할 수 있다.
무릎과 발바닥 및 발목 부상의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는 상황에서 관련 통증 시술로 호전된 사례도 있다.
2021~2023년 3명의 축구국가대표팀 선수 시술을 집도했던 영상의학과 이상환 전문의는 "3명의 부상 상태가 각각 무릎관절 염증과 심한 족저근막염, 만성 아킬레스 건염으로 힘든 상황이었고 그들 모두 은퇴까지 고려했지만 통증 시술인 '미세동맥색전술'을 받은 후 경기를 뛸 정도로 상태가 많이 좋아졌다"고 밝혔다.
무릎 전방십자인대 파열, 선수에게 치명적
무릎은 부상이 가장 흔한 곳이다. 특히 전방십자인대는 무릎 관절 안정성을 높여주는 조직으로 비교적 튼튼하지만 비틀림에는 약해 급격한 방향 전환과 급정지, 점프 후 착지 불안 시 주로 발생한다.
최근 아시안컵에 참가하고 있는 한국대표팀 주전 골키퍼 김승규가 훈련 중 무릎 십자인대 파열로 대표팀에서 낙마했고 2006년 이동국이 K-리그 경기 중 급격한 턴으로 무릎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당해 결국 독일월드컵 출전이 무산된 사례가 대표적이다.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무릎에서 '뚝' 소리가 들리고 통증, 부종이 나타나며 진료와 검사 결과를 통해 조직 파열 양상을 파악하고, 무릎 연골 동반 손상 여부도 확인해야 한다.
상태가 경미하면 약물, 주사, 보호대 착용, 재활치료로 좋아질 수 있다. 그러나 파열 범위가 넓고 인대가 완전히 끊어졌다면 인대 이식 재건술이 필요하다.
무릎 관절을 구성하는 연골조직인 '반월상연골 파열'도 주의해야 한다. 방향 전환 및 상대 선수와 충돌 때 발생하며 파열 정도에 따라 심하면 봉합수술을 해야 한다.
이준철 전문의는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해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과 각종 보호장비 착용은 기본이며 운동 후 충분한 휴식과 냉찜질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며 "평소 발목, 무릎 주변 근력 강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권장된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