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음식점 메뉴 절반, 배달이 매장보다 비싸"…가격 차 고지 안하는 식당도 다수

이미선 기자

기사입력 2023-02-21 08:26 | 최종수정 2023-02-21 08:55


최근 배달앱 관련 소비자불만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매장 가격보다 배달 가격이 더 비싼 서울 시내 음식점이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쿠팡이츠에 입점한 서울 시내 34개 음식점의 1061개 메뉴 가격을 조사한 결과 20개 음식점(58.8%)이 매장과 배달앱 내 가격을 다르게 책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업종별로 보면 분식집 12곳과 패스트푸드·치킨 전문점 8곳이 매장과 배달앱 음식 가격이 달랐다. 이 중 13개 음식점은 배달 가격과 매장 가격이 다를 수 있다는 내용을 고지하지 않았다.

메뉴별로 보면 1061개 중 541개(51%)의 가격이 일치하지 않았다. 이 중 529개(97.8%)는 배달앱 가격이 매장보다 더 비쌌다. 매장보다 배달이 비싼 메뉴의 평균 가격은 6702원으로, 매장 평균 가격(6081원)보다 621원(10.2%) 더 높았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거나 지원하는 공공 배달앱의 경우 서울 시내 배달비는 민간 배달앱과 전반적으로 비슷했지만, 일부 사례에서는 공공 배달비가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배달앱(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과 공공 배달앱(대구로·먹깨비·배달의명수·배달특급) 7개의 소비자 종합만족도는 평균 3.52점으로 공공 앱의 만족도가 민간 앱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소비자원이 배달앱을 이용하는 소상공인 외식업주 10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배달앱 중개 수수료 인상 시에는 49.4%, 광고비 인상 시에는 45.8%가 음식 가격이나 소비자가 부담하는 배달비를 올리거나 음식량을 줄였다고 답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배달앱 사업자에게는 ▲소비자 불만 처리 절차 등 개선, ▲중개수수료·배달비 조정 등을 통한 상생 협력 방안 마련, ▲음식점의 매장 가격과 배달 가격이 다를 경우 배달앱 내에 관련 내용을 표시하도록 시스템 보완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외식업중앙회 등 외식업 유관 단체에는 음식점의 배달앱 내 가격 표시 관련 교육 및 홍보 강화를 권고할 계획이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