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지침의 20년 간의 변화를 종합한 연구 결과가 발표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원명 교수팀(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우영섭 교수, 원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장승호 교수)는 2002년 초판 이후 2021년까지 총 4차례 개정된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지침의 시대적 변화와 그 임상적 의의를 고찰한 논문을 최근 발표했다.
논문은 정신병적 양상, 비전형적 양상, 혼재성 양상, 멜랑콜리아 양상, 계절성 및 불안증 동반 등 다양한 임상상황과 중증도에 따른 주요우울삽화의 치료와 지속성 우울장애,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등의 기타 우울장애에 대한 약물치료 알고리듬 및 지침의 변화를 분석했다. 또한 노인과 소아 청소년에 대한 약물치료의 변화 역시 포함했다.
특히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적극적 사용이 외국의 근거중심 임상진료지침과 다른 부분이었고, 새로운 기전의 항우울제에 대한 권고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점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박원명 교수(교신저자)는 "이번 논문은 지난 20년간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및 지침에 대한 연구를 집대성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면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우울장애 약물치료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 및 임상경험을 반영해 의료진뿐만 아니라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SCI급 국제학술지인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