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시총 30위내 IT 업종 비중 20년만에 '25.4%→63.3%'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21-01-12 11:08


지난 20년 사이에 한국 주식시장에서 IT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IT 업종에는 네이버와 카카오 등 서비스 업종,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전기전자 업종이 포함된다.

12일 한국거래소의 '미·중·일·독·한국의 시총 30대 기업 업종 분석' 자료에 따르면, 한국 증시 시총 30위 내 IT 업종 비중은 2000년 25.4%에서 2020년 63.3%로 증가했다. 이 기간 서비스업 시총 비중은 2.6%에서 9.8%로, 전기전자 시총 비중은 53.5%로 늘었다.

1990년대 말 IT 붐에 발맞춰 급격히 증가했던 주요국 IT 시총 비중은 2001∼2002년 IT 버블 붕괴로 감소했다. 이후 IT 시총 비중은 다시 완만하게 회복했는데, 특히 IT와 첨단 제조업이 주력 산업으로 자리 잡은 한국에서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인구 고령화와 제약 산업 발전으로 주요 국가의 헬스케어 시총 비중 또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2000년 한국 시총 30위 안에는 헬스케어 종목이 전무했으나 2020년에는 7.8%로 늘어났다. 독일(5.1%→16.4%), 일본(4.1%→13.5%), 중국(0.0%→10.0%)도 헬스케어 업종 비중이 확대됐다. 다만 미국은 애플, 아마존, 이베이 등 IT와 자유소비재 업종의 덩치가 커지면서 헬스케어의 비중(17.8%→5.9%)은 상대적으로 줄었다는 분석이다.

한편 금융업의 경우, 고부가 산업이 발달한 선진국에서는 20년 새 비중이 줄었지만, 경제 성장 과정에 있는 중국은 그 비중이 커졌다.

시총 30위 내 금융업 비중은 한국(12.4%→6.2%)을 비롯해 미국(17.0%→7.4%), 독일(25.6%→12.1%) 등에서 줄었으나 중국(16.1%→24.5%)에서는 증가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