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9년부터 국내 건설경기가 하강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동행지수인 건설 기성금액은 2014년 0.4%, 2015년 4.2%, 2016년 16.9%, 올해 상반기 21.4%로 증가 폭이 점차 커지고 있다.
또 다른 동행지수인 종합건설업체 수도 2014년부터 증가세가 확대되며 건설 기성금액과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보고서는 현재 상승기에 미리 내후년 하락기를 대비해야 건설경기의 연착륙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는 건설업계가 민간주택건설이나 공공건설 시장에만 매달리지 말고 다양한 건설형태를 시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 대안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제시했으며, 건설기업의 사업개발능력과 기술을 향상하기 위해 에너지 절감 빌딩인 '그린빌딩'과 같은 새로운 건축개념을 도입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장준양 연구원은 "그동안 국내 건설이 정부정책에 따라 등락이 결정됐지만 앞으로는 건설기업의 노력으로 건설경기 하락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