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근로자들의 노동시간은 1위인 멕시코를 제외하면 OECD 국가 중 2위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장시간 노동은 근로자의 신체적 건강은 물론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특히, 일과 삶의 균형을 깨뜨려 전반적인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의 기업정신건강연구소는 9일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는 주당 노동시간을 탐색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연구진은 주당 40시간 이상 노동을 하고 있는 근로자 1575명을 대상으로 직무소진(Burnout), 우울, 불안, 스트레스, 삶의 질에 대해 탐구했다. 우선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초과근무시간의 지점을 찾기 위해 주당 노동시간에 따라 10개구간으로 나눠 조사했고, 차이가 두드러지게 관찰되는 3개 구간이 나타났다.
주당 노동시간을 40~50시간(1014명), 51~55시간(223명), 56시간 이상(338명)의 3집단으로 나눠 각 집단별 차이를 비교했다.
임세원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부소장(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주당 55시간을 초과하는 근무는 우울, 불안, 번아웃과 같은 심리적 삶의 질은 물론 신체적 삶의 질까지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일과 삶의 균형을 보장해주려면 주당 노동시간이 최대 55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사회적 고민이 필요하고, 이상적으로는 주당 50시간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다양한 직종의 더 많은 수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연구를 통해 사회적 합의를 위한 근거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9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개최된 한국정신신체의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