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2일 대만 택시기사 성추행 사건 관련 피해여성 3명 중 한 명인 A씨가 23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의 인터뷰에 응했다. 대만에서 일반화된 투어택시에서 기사로부터 요구르트를 받아마시게 된 과정, 사건 직후 신고하고 도움을 청한 과정, 외교부의 자국민 보호 및 대처과정에 대한 아쉬움 등을 소상히 털어놨다.
이들은 이전에도 이 기사가 음료수를 준 적이 있었기 때문에 큰 의심없이 요구르트를 받아마셨다고 했다. "이전에도 과일이나 버블티 같은 거 계속 주셨는데 그때는 이상이 계속 없었기 때문에 이번에도 호의로 그냥 먹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신경안정제가 든 요구르트를 마신 후 친구들은 정신을 잃었다. "친구들은 거의 마신 후에 바로 정신을 잃었고 이상한 말을 하기 시작했고 저도 두세 모금 마신 정도 이후에 10분 정도 후에 잠이 들었던 기억이 난다. 얼마 후에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지 모르겠는데 기사가 저만 유독 깨우더라. 그래서 야시장에서 저만 조금 정신을 차렸다"고 했다.
택시기사는 의식이 있는 A씨를 야시장으로 내보내고, 친구들만 태운 채 돌아오겠다는 말을 남기고 떠났다. "스린야시장에서 저한테 그랬다. 어지럽고 몽롱했는데 택시기사분이 일단 문을 여니까 내리기는 내렸다. 내리자마자 너무 몽롱하고. 지금 생각해보면 술을 두세 병 이상 먹으면 이런 느낌이겠다 싶을 정도로 정신이 혼미했다"고 했다. "네가 투어를 하고 오면 갔다와서 나한테 카톡을 달라, 데리러 오겠다고 말하고 떠난 기억이 난다"고 덧붙였다.
밤 10시 정도에 호텔에 들어온 이들은 이튿날 오후 5시가 돼서야 정신을 차렸다고 했다. "많이 마신 친구는 하루 종일 몸에 힘이 없어 했고 이후에 몸이 너무 몸이 이상하니까 새벽에 택시 안에서 먹었던 요구르트랑 같은 요구르트를 직접 사서 먹어보자. 먹어본 후에 너무 맛이 달라서 뭔가 문제가 있다. 그때부터 심각성을 인지하게 됐다"고 말했다. "일단 친구가 성추행을 당할 동안 장면이 명확하다고 얘기했다"고 덧붙였다.
A씨는 사건 직후 주 타이베이 한국대표부의 사고 대응 및 처리 과정에서 느낀 분노와 서운함을 토로했다. "주 타이베이 한국대표부 긴급전화로 새벽 3시 30분경에 전화를 드렸다. 계속 고민을 하다가 쉬운 일이 아니다 보니까…. 그랬더니 당직 서던 분이 한숨을 내쉬면서 무슨 일로 대표부 긴급전화로 전화를 하셨냐. 지금 한국시간은 새벽 3시다라고 덧붙이시면서 짜증 섞인 투로 말을 하셨다. 상황 설명을 구체적으로 드리고 마지막에 통역을 요청드렸더니 상시적으로 통역제공은 어려우니까 우선 날이 밝는 대로 경찰서에 신고부터 하고 연락을 달라 하고 전화를 끊으셨다"고 당시 상황을 떠올렸다.
김현정 PD가 "피해자들한테 신고할지 말지 여부를 결정해 달라고 했는데 답이 없길래 수차례 통화를 시도해서 피해자들과 겨우 연락이 닿았다. 그랬더니 피해자들이 신고하러 대만 경찰에 가 있다고 해서 그 즉시 현장으로 출두했다"는 외교부측의 주장을 언급하자 A씨는 "저희는 외교부로부터 신고할지 말지 결정못하겠다는 말은 한번도 한적이 없다"면서 "저희는 애초부터 경찰서에 신고할 마음을 가지고 대표부에 전화를 드린 거고 도움을 구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사건 이후 이들은 한국인 여성들을 상대로 한 유사 택시관광 범죄가 10여 건 있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잔이라는 택시기사가 이미 수백명에 달하는 여성들을 가이드해 왔고 한국 여성만 100여 명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 A씨는 "같은 택시기사분을 이용하고 저희랑 비슷한 일을 겪은 분들이 약 10여 명 정도 있으시다고 지금 주장을 하셔서 그분들께서도 진술서를 작성해 주셔서 저희 대만의 변호사님께 보낸 걸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잔이라는 택시기사는 구속됐지만 그 기사가 속해 있던 무허가 택시업체는 여전히 영업중이라는 의혹에 대해 A씨는 "대만 원무원에서는 회사를 해산하고 영업중단했다고 말하시는데 이름을 바꿔서 여전히 영업을 계속하고 있으신 상황이라고 들었고 이것 또한 메신저 증거를 저희가 가지고 있고 변호사님께 보낸 상태"라고 증언했다.
A씨는 절박한 외지에서 주타이베이대표부의 도움을 받지 못한 점에 대해 거듭 아쉬움을 표했다. "저희가 현지 법원에서 증언하는데 현지 교민분이 통역을 해 주셨다는 것 자체도 문제가 있고, 현지에서 기사가 나서 호텔에서 못 묵을 상황이었다. 저희 있던 호텔 쪽으로 기자분들이 다 잠복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대표부 외교부 분들에게 저희 하루 묵을 곳을 찾아봐 줄 수 없겠냐라고 물어봤는데 현재로써는 지금 지원될 수 있는 금액도 없고 일단 찾아는 보겠다라고 하다가 저희가 현지 교민분들 집에서 잤다"고 했다. "별도의 지원이 어렵다, 찾아는 보겠다 하다가 결국 현지 교민분 집에서 자고 바로 다음 날까지 교민분이 또 따로 호텔 가서 저희 짐을 가져다주시고. 계속 교민분 도움만 받았다"고 덧붙였다. "현지에서 너무 경황이 없어서 감당이 잘 안됐는데 계속 통역 도와주시고 재워주신 교민 두 분한테 감사하다는 말씀드리고 싶다. 현지 JJ택시투어팀 사장님께도 감사하다는 말씀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