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정빛 기자] 국민의힘 황보승희 의원이 전문가들과 국내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이정표를 제시하고, 실행전략을 모색해 보는 자리를 가졌다.
황보 의원은 "K-콘텐츠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제작 환경 개선, 창작자의 여권 신장, 플랫폼 산업 경쟁력 확대 등 종합적인 측면의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 거대한 자본력과 규모를 자랑하는 해외 공룡 CP사들과 플랫폼사들의 보폭을 따라가야 하는 입장에서 획기적인 지원은 글로벌 시장에서 K-콘텐츠가 살아남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고 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채지영 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은 K-콘텐츠의 글로벌 진출 현황을 설명하며, K-콘텐츠 수출대국 도약을 위한 미래 전략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체계적인 콘텐츠 수출 진흥 정책 기준을 확립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
먼저 전용주 아이윌미디어 대표는 현재 영상 제작 기업의 자본 영세성과 넷플릭스 의존도가 심화됐고, 장르의 자극성과 일부 작가 및 연기자에 편중된 점, 해외 시장에서의 불법 유통 콘텐츠, 디지털 제작 신기술의 과감한 지원이 미흡한 점 등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플랫폼의 다양성을 강화하고, 웹툰 웹소설 AI 챗GPT 등 뉴 크리에이티브 소스를 활성화하고, 독립 영상 제작사들간 M&A와 프리-IPO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라며 "기본 방송과 OTT 영상 심의를 글로벌 수준으로 통합하는 규제도 시급하고, 글로벌 한류 영상 IP를 개발하고 국내 방송, 통신, 제작사간 공동 투자 및 제작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글로벌 미디어 시장의 과제로 "OTT 서비스의 확산, 변화하는 소비자 행태 및 수요, 콘텐츠 불법 복제 및 유통의 증가, 콘텐츠 경쟁의 부담"을 꼬집었다.
성동규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도 K-콘텐츠라도 IP 권리가 없는 '오징어 게임'과 국내 제작사가 IP 권리를 소유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등을 사례로 들며 "IP를 글로벌 사업자들에게 넘기지 않을 방안을 폭넓게 연구해야 한다"고 했다.
|
|
김세규 비브스튜디오 대표는 콘텐츠 제작 기술의 진화를 읊고, 버추얼 프로덕션과 AI 버추얼 휴먼이 K-콘텐츠의 미래를 이끌어갈 미래 기술이라고 했다. 또 이 시장의 규모가 매년 성장하고 있다며 버추얼 휴먼 인플루언서 시장을 전망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콘텐츠 수출 정책 추진체계를 강화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신지원 문화체육관광부 한류지원협력과 과장은 해외거점을 운영하는가 하면,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등 콘텐츠 수출 기반을 조성한다는 입장이다. 신 과장은 "콘텐츠의 해외진출과 한류 연관산업 동반성장을 지원해야 한다"며 "콘텐츠 수출협의회 기존 한류협력위원회를 민간기업 등 참여 강화하여 콘텐츠 수출협의회로 개편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정빛 기자 rightligh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