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출시되어 전 세계를 강타한 '포켓몬 GO'는 닌텐도의 '포켓몬' IP를 이용해 구글의 자회사였던 나이언틱이 제작을 맡은 증강현실(AR) 모바일 게임이다. '포켓몬 GO'는 출시 하루 만에 미국 애플 앱스토어 최다 다운로드, 최고 매출 1위를 달성했으며 이로 인해 닌텐도의 주가가 50%가량 오르며 1983년 이후 최고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1년 뒤인 2016년 7월 6일 호주, 뉴질랜드 등 일부 지역과 7일 미국에 정식 출시된 '포켓몬 GO'는 출시 6개월 만에 9억5천만 달러(약 1조1043억 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했고 6억5천만 건 이상의 다운로드를 돌파했다.
또한 '포켓몬 GO' 관련 상품으로 스마트폰 화면을 보지 않고 주변에 포켓몬이 나타나거나 포켓스톱이 있으면 빛과 진동으로 알려줘 원격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팔찌형 스마트 기기 '포켓몬 GO 플러스'가 함께 출시되어 큰 인기를 누렸다.
지난해 7월 시작된 '포켓몬 GO' 열풍은 한국에도 불었다. 한국은 당시 정식 출시 국가에서 제외되었지만 속초, 울산 등 일부 지역에서 플레이할 수 있어 지자체에서 '포켓몬 GO' 지도를 제작하기도 하고 포켓몬 여행 상품이 등장하기도 하는 등 관광 특수가 발생하기도 했다.
그러던 중 2017년 1월 24일 나이앤틱과 포켓몬코리아는 '포켓몬 GO'를 갑작스럽게 국내 정식 출시했다. 게임 내 언어는 모두 한글화가 되었고 기존 글로벌판으로 즐기던 유저들도 아이디를 연동해 게임을 그대로 즐길 수 있었다. 나이앤틱은 여러 가지 추측이 난무했던 지도 문제에 대해 "대중적으로 입수 가능한 지도 데이터를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설 연휴와 겹쳐 한국에 정식 출시된 '포켓몬 GO'는 대대적인 인기몰이를 시작했고 양대 마켓 최고 매출 2위를 기록했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인기가 하락하기 시작한 '포켓몬 GO'는 3월 초 매출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나고 4월 19일 현재 구글 플레이 스토어 26위 애플 앱스토어 17위를 기록 중이다. 또한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주간 이용자 수는 2월 초 695만 명이었으나 3월 말 270만 명까지 감소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포켓몬 GO'의 하락세는 이어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컴스코어(comscore)에 따르면 미국에서 지난해 2850만 명을 기록했던 1일 사용자 수(Daily Active User, DAU)는 최근 500만 명으로 1/5 이상 감소했다. 또한 나이앤틱의 존 행크 대표는 4월 4일 영국에서 개최된 '런던 게임 페스티벌'에서 현재 '포켓몬 GO'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Monthly Active User)를 6500만 명으로 발표했다.
이 같은 유저 수 하락은 업데이트를 통해 포획 가능한 포켓몬의 수만 증가할 뿐 단순하고 반복적인 게임 플레이 방식이 개선되지 않았고 '포켓몬스터' IP의 핵심인 유저 간 대결 콘텐츠가 체육관 등 지정된 장소에서만 가능한 것 때문으로 보인다. 나이앤틱은 유저 간 대결, 포켓몬 교환 등의 추가 업데이트를 발표했지만 2세대 포켓몬을 추가하는 이전 업데이트가 출시 7개월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볼 때 빠르면 하반기는 되어야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포켓몬코리아는 지난 4월 5일 '포켓몬 GO' 전용 팔찌형 스마트 기기 '포켓몬 GO 플러스'를 4월 28일 국내 정식 발매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국내 유저들은 '너무 늦었다'는 반응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포켓몬 GO'로 인해 2016년 여름은 그야말로 '포켓몬의 계절'이었지만 단순한 게임성과 업데이트 부재로 현재 유저들이 많이 줄어들었다"며 "특히 국내 시장에는 출시가 글로벌판보다 6개월 늦었고 관련 상품들도 늦게 출시되어 열기가 금세 식은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글 박해수 / 그림 주상일 겜툰기자(gamtoon@gamto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