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최만식 기자] 남자 프로농구계가 '전역선수 딜레마'에 빠졌다. 제도적 맹점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제도 개선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 제도는 과거 군 복무 기간이 21∼26개월(육군 기준)이었던 시절만 해도 별다른 문제점을 노출하지 않았다. 군 복무 기간은 KBL 리그 창설 해인 1997년 26개월이었고 이후 24개월(2003~2007년), 21개월(2008~2017년)을 거쳐 2018년부터 18개월로 단축됐다.
|
군 복무 21개월 시절만 해도 정규리그가 반환점을 도는 1월에 복귀하기 때문에 그럭저럭 넘어왔는데, 11월 전역 복귀 시대가 되면서 구단과 선수 모두 말 못할 아쉬움을 품게 됐다고 한다.
우선 선수 입장에서는 종전보다 부쩍 늘어난 기간 동안 리그에 중도 참여하지만 제도 규정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외한 연봉을 받을 수밖에 없으니 동기부여가 떨어진다. 특히 계약 기간에 포함되지 않아서 이른바 나쁜 마음을 먹고 설렁설렁 뛰어도 그만이다. 악용될 소지가 있는 것이다.
|
구단도 입장이 난처하기는 마찬가지다. 보수 총액을 전액 지급하지 않으면서 선수에게 '최선'을 요구하는 게 너무 힘들다고 한다. 선수의 열정, 양심에 맡기는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무엇보다 전역 선수가 최선을 다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면 제도의 맹점을 악용하는 게 아닌가 의심 유혹에 빠질 공산이 크다. 팀과 선수간 신뢰 붕괴는 돈으로도 회복하기 힘든 치명적인 손실이다.
KBL 관계자는 "그렇지 않아도 군 복무 기간이 단축되면서 제도 개선 논의를 제안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한 구단 관계자는 "제도는 수십년 전 만들어져 그대로인데, 복무 기간이 단축되면서 '몸에 맞지 않은 옷'이 돼 가고 있다"면서 "앞으로 군 입대-전역 선수는 모든 구단에 계속 발생하는 일이다. 사회적 변화 추세에 맞추기 위해서라도 어떤 형태로든 구단과 선수 모두 윈-윈할 수 있는 개선안을 위해 머리를 맞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