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로비치(미국 플로리다주)=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외부에서는 저희 전력이 약해졌다고 평가를 하는데, 그건 전혀 아닌 것 같습니다."
그 외에는 특별한 변화는 없지만, 문제는 타 구단들의 전력 보강이다. 한국시리즈에서 겨뤘던 키움 히어로즈는 실질적인 첫 외부 FA 원종현을 영입했고, 외국인 선수 영입에도 이전보다 많은 돈을 썼다. LG 트윈스나 KT 위즈, 롯데 자이언츠, 두산 베어스에 한화 이글스까지 FA와 추가 선수 영입 등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면서 스토브리그가 후끈 달아올랐다. 샐러리캡의 늪에 빠진 SSG는 강제로 소극적 행보를 할 수밖에 없었다. 지난 2년 간 추신수, 김광현, 최주환 등을 데리고 오면서 '시장의 핵'으로 떠올랐던 것과는 대조적인 분위기다.
그 때문인지 지난해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에 '디펜딩 챔피언' 자격을 갖췄지만, 현재까지의 2023시즌 전망을 지난 시즌보다 높게 평가하는 시선은 많지 않다. SSG 코칭스태프와 구성원들도 그런 평가를 잘 알고 있다.
코칭스태프나 구단 내부 분석도 다르지 않다. "지난해에도 우승 전력은 아니라고 했지만 우승을 했다. 올해도 전력이 크게 떨어지거나 그렇지 않다. 오히려 훈련의 완성도는 이번 캠프가 더 좋고, 우승을 한 이후의 선수단 분위기나 비시즌 준비 과정을 봤을때 올해도 결코 뒤지지 않는다고 본다"는 게 대부분의 의견이다.
김원형 감독도 "가장 약하다고 보이는 게 불펜이다. 하지만 올해 캠프에 와서 보니 좋은 선수들이 많다. 신인 이로운도 기대 이상이고, 외부 영입한 좌완 임준섭도 기대가 된다. 길고 짧은 것은 대봐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내다봤다.
3명 모두 새 얼굴로 교체한 외국인 선수들과 신예 선수들의 성장 속도가 결국 시즌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다른 구단들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디펜딩 챔피언'이라는 자존심과 자부심을 걸고, SSG는 다시 우승을 향해 뛴다.
베로비치(미국 플로리다주)=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