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빠르게 결론을 내는 게 서로 이상적이지만, 아직까지는 접점을 찾지 못했다. 그동안 쌓은 팀 기여도와 미래 가치 사이에서 어떤 답을 만드느냐가 관건이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대화에서는 아직 매듭을 짓지 못했다. 두산과 유희관은 각자 정해둔 계약 조건이 있다. 다만 아직은 계약 내용에 있어 의견 차이가 존재하는 상황이다. 물론 모든 계약 협상이 그렇듯, 처음부터 구단과 선수 측의 생각이 동일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나 FA는 양 측의 의견 차이를 어떻게 좁혀가고, 서로를 어떻게 설득해 사인을 하느냐가 중요한 핵심 사안이다.
두산과 유희관 모두 잔류 자체에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타 팀 이적 가능성이 없는 상황에서, 구단도 유희관의 공로와 앞으로도 팀원으로서 함께 해야 할 선수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구단의 제시 조건을 유희관이 받아들일 수 있느냐는 또다른 문제다. 30대 중반인 유희관에게는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 FA 선언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연봉 계약과는 전혀 다른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구단의 시선은 미래 가치를 볼 수밖에 없다. FA 계약은 선수의 현재까지의 페이스를 감안해 향후 활약도에 대한 기대값을 금액으로 산정한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베테랑 선수들이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밖에 없다. 30대 중후반 FA 선수들이 협상 당시 가장 많이 충돌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현재까지의 기여도와 미래 가치 사이에서 각자의 생각이 같을 수 없기 때문이다.
서로 너무 늦지 않게 사인을 하고 싶어하는 것은 동일하다. 양 측의 조건이 다음 만남에서는 얼마나 격차를 좁힐 수 있을지 주목된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