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아마야구 정상화]입시비리, 근절대책 뭐가 있을까

노재형 기자

기사입력 2015-12-21 07:51


야구입시비리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아마추어야구계, 사법 당국 등 각계가 합심해 제도 개선을 이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조병관기자 rainmaker@sportschosun.com

대학야구입시 비리가 2012년 이후 3년 만에 불거져 아마야구계가 시끄럽다. 경찰에 따르면 6개의 대학이 수사 대상이다. 수사 진행 과정에 따라 서울 및 수도권 대학이 추가될 수도 있다. 다른 종목에도 입시 비리는 존재하지만 특히 야구에 대한 입시비리 제보가 잇따르고 있다. 어제 오늘의 문제만도 아니다.

수십년 동안 누적돼 온 관행으로 비리 연루자들은 도덕 불감증에 휩싸여 있다. 한 두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고교와 대학교, 선수를 둘러싼 감독과 학부모간의 구조적인 비리다.

공공연한 비밀이지만 야구 특기자로 서울 소재 대학에 들어가려면 1억∼1억5000만원, 기타 대학은 7000만∼8000만원이 든다고 한다. 돈이 전달되는 방식은 은행 계좌와 현금 전달이 일반적이며 차명의 불법 계좌로 받는 경우도 있다. 돈을 받는 이는 대학 감독 뿐만이 아니다. 입학을 관리하는 부서로도 흘러가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대학은 학문을 연구하고 닦는 곳이며 스포츠 역시 이 범주 안에서 다뤄져야 한다. 비리로 입학한 선수가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더구나 공정한 경쟁을 통해 승리를 쟁취하는 것이 스포츠의 정도임에도 아마야구 입학에는 물밑 거래 등 비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승부가 갈리고 있다.

야구입시비리를 뿌리뽑기 위해서는 아마추어 야구계와 학교, 사법 당국 등 모든 기관이 전사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3년전에도 대대적인 입시비리 수사가 이뤄져 사법처리 칼바람이 야구계를 흔들었다. 수많은 야구인들이 실형을 받으며 퇴출됐다. 아마야구계는 재발방지를 약속했지만 이같은 일이 또다시 터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그동안 사태의 심각성을 무시한 채 학교와 야구계가 별일 아니라는 듯 반응했기 때문이다.

선수선발을 공개적으로 하자는 의견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대학의 야구특기생은 경쟁에 의한 공개 모집으로 뽑도록 돼있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 '진짜' 특기생 한 명에 동료 선수 여러명을 묶어 입학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당연히 모집 평가위원회가 할 일은 별로 없다. 사전에 입학자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묶음을 '당하는' 선수들의 학부모가 어느 정도의 돈을 내느냐가 합격, 불합격의 기준이 된다. 여기에 입학 전문 브로커가 관여하기도 한다.

선발과정을 개선해야 한다. 대학 자율에 맡겨져 있는 선발 제도를 뜯어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공개선발제도를 정착시켜야 한다. 사실상 감독이 전권을 행사하다시피 해 선발하는 시스템을 바꾸자는 것이다. 감독이 아니라 대학 스스로 특기생 선발위원회를 구성해 후보 선수들을 공개하고 평가해서 입학시키자는 이야기다. 이 과정에서 프로구단 스카우트들의 협조를 받아 해당 선수의 실력과 인성 등을 평가할 때 참고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검찰에서도 야구입시비리에 대해 선수선발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진학할 학교를 결정할 때 교차지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지금은 선수 한 명이 대학교 한 곳만 지원할 수 있는데, 2개 이상의 학교에 복수 지원해 자신의 능력에 맞춰 입학을 할 수 있도록 하면 그만큼 입시비리가 생길 가능성은 낮아진다. 이러한 공개 선발제도와 입학 전형에 정부 당국이 관여하는 것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 비리 연루자에 대한 처벌 수위를 더욱 높여야 한다. 지금은 비리가 적발되더라도 징역 1~2년, 또는 집행유예로 풀려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 번 잘못을 저지르면 평생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받게 된다는 경각심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


※보도자료 및 기사제보 news@sportschosun.com -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