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정상에서 나락, 다시 환희로 이어진 빅토르 안의 선수인생, 결말은 비극으로

박찬준 기자

기사입력 2018-01-23 09:19


빅토르 안과 안현수 스포츠조선

정상에서 나락으로, 다시 환희로 이어졌던 그의 쇼트트랙 인생이 아쉽게도 비극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커졌다. 러시아로 귀화한 '쇼트트랙 황제' 빅토르 안(한국명 안현수) 이야기다.

22일(한국시각) 러시아 언론들은 소식통을 인용해 '빅토르 안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로부터 평창 동계올림픽의 개인 자격 출전 불허 판정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국가 주도의 조직적인 도핑 사실이 알려져 지난해 IOC로부터 평창동계올림픽 출전 금지 징계를 받았다. 올림픽 출전길이 막힌 러시아 선수들은 대신 오륜기를 달고 개인 자격으로 올림픽에 나설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됐다. 전제가 있었다. 철저한 도핑테스트를 통과한 경우에 한했다.

아직까지 공식 확인이 나오지 않았지만, 빅토르 안은 도핑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국적으로 2014 소치올림픽에서도 3관왕에 오른 빅토르 안은 그동안 도핑 의혹에 한 번도 휘말린 적이 없어 한국과 러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 빙상 팬들에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러시아 빙상연맹의 알렉세이 크라프초프 회장도 "빅토르 안이 왜 이러한 판정을 받게 됐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빅토르 안이 평창올림픽에 갈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은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 제소 뿐이다. 도핑에 연루됐던 러시아 선수들은 이미 CAS에 제소한 상황이다. 하지만 빅토르 안은 시간이 너무 촉박해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번 결정으로 고국에서 유종의 미를 거두려던 빅토르 안의 꿈은 산산조각이 났다. 그는 2014년 소치올림픽 이후 선수 은퇴를 고민했다가 마음을 돌렸다. 2017~2018시즌 성적도 신통치 않았다. 지금까지 월드컵에서 메달이 없었다. 이번 유럽선수권 2위가 최고 성적이었다. 하지만 고국에서 마지막 올림픽 무대에 서겠다는 일념 하나도 버텼다. IOC의 징계로 올림픽 출전길이 막힐 뻔 했던 빅토르 안은 개인 자격 출전을 결정하며 올림픽에 대한 희망을 이어나갔다. 풍부한 경험을 갖춘 그에게 기대도 이어졌다. AFP통신은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주목할 선수 10명 중 한명으로 빅토르 안을 꼽았다. 하지만 이번 도핑 의혹으로 모든 것이 무너졌다.

빅토르 안은 여러차례 위기를 극복해 왔다. 그의 선수인생은 파란만장 그 자체였다. 주니어 시절부터 국제무대를 주름 잡던 안현수는 2006년 토리노올림픽에서 1000m, 1500m, 5000m 계주에서 금메달, 500m 동메달을 따내 '쇼트트랙 황제'로 등극했다. 그러나 2008년 무릎 부상으로 세 차례 수술대에 오르는 등 힘겨운 재활을 거쳐 재기에 나섰으나 대표선발전을 통과하지 못하면서 2010년 밴쿠버올림픽 출전이 좌절됐다. 소속팀 성남시청의 해체까지 겪으며 시련의 시절을 보내던 그는 2011년 자신에게 손을 내민 러시아로 국적을 바꾸는 파격적인 선택을 했다. 그리고 2014년 보란듯이 다시 한번 세계 정상에 등극했다. 국적을 바꾸고도 또 다시 오른 3관왕(500m, 1000m, 5000m계주). 빅토르 안은 새 조국 러시아에 올림픽 사상 첫 쇼트트랙 금메달을 안겼다.

하지만 이번 도핑 의혹은 그의 굴곡진 선수생활에서도 가장 큰 위기다. 도핑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사실상 선수생활을 마감해야 하고, CAS를 통해 무혐의 판정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마지막 무대로 생각했던 평창올림픽 불참의 충격을 추스르고 선수생활을 이어가기가 쉽지는 않은 상황이다. 비극으로 치닫는 빅토르 안의 드라마, 파란만장했던 선수생활의 끝을 어떻게 장식할지는 IOC와 빅토르 안의 결정에 달렸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