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 토요타ㆍ스바루ㆍ마쓰다가 협력해 차세대 탄소중립 내연기관 파워트레인을 개발한다고 발표한의미는 무엇일까. 이는 급격한 전동화를 연기하면서내연기관 엔진의 화석연료 대신 바이오퓨엘 같은 다른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탄소중립을 앞당기기위한 세 회사의 노력으로 볼 수 있다.
토요타, 스바루, 마쓰다는 기술 개발에 서로 협력하는 관계지만 동시에 경쟁자로 남을 것도분명하게 밝혔다. 세 제조사 모두 탄소중립이라는 공통적인 목표를 가지고 서로의 시그니처 파워트레인에 다양한 시도를 한다. 대표적으로토요타는 직렬 4기통, 스바루는 박서 엔진, 마쓰다는 로터리 엔진을 사용해 친환경 탄소중립 내연기관 파워트레인을 개발한다.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한 목표인 만큼 모든 파워트레인에하이브리드 시스템을기본 적용한다. 각 제조사의 탄소중립 파워트레인은 특성에 맞게 모터 및 하이브리드와 결합해 최적의 효율을 발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료의 경우 e-연료, 바이오 연료, 액체 수소등 다양한 화석 연료의 대안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 내연기관 엔진을 지향하지만 성능도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엔진크기를 소형화 해 더 나은 공기역학 성능을 낼 수 있도록 하며열효율성과 최대 출력, 토크를 높여 현 세대 내연기관 엔진의 단점을 모두 극복하는 것이 최종목표로 보여진다.
토요타, 스바루, 마쓰다는 이날 각각 개발중인 친환경 내연기관을 전시했다. 토요타는 1.5L 4기통 엔진을 장착한 프리우스 프로토타입, 스바루는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한 크로스 트랙프로토타입, 마쓰다는 레인지 익스텐더 방식의 로터리-EV시스템을 전시했다. 향후 각 브랜드가추구할 방향성을 엿볼 수 있다.
동일한 목표를 지닌 일본자동차 제조사 3사는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내연기관 엔진개발 방향을 밝혔다. 내연기관 엔진의 수명 연장을 위한 세 제조사의 노력이 어떤 결과물을 만들지 관심이 가는 부분이다.
정원국 에디터 wg.jeong@cargu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