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소화기병센터 홍수진 교수팀(김신희·유혜원 교수)이 최근 위 선종의 내시경 절제 이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의 추후 위암 발생률이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약 12% 낮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위 선종 내시경 절제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받지 않은 환자보다 위암 발생률이 약 1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효과는 치료 3년 후 약 16%, 5년 후 약 20%로, 시간이 지날수록 높아졌다. 또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는 위암뿐 아니라 시술 후 새로운 위 선종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위 선종의 내시경 절제술 시행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위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대규모 데이터 분석으로 밝혀낸 것은 세계 최초다.
연구책임자인 홍수진 교수는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 결과가 소화기 분야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학회지에 실린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며 "이번 연구가 위 선종 및 위암의 적절한 치료 가이드라인 확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위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진료와 연구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화기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 의학 저널인 'Gastroenterology' 2월 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