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보험사들의 신규 계약 건수가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줄어들었으나 보험 약관대출 및 해약은 되려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기존에도 보험 시장이 포화상태였고, 코로나 사태 이후 민간 소비 여력이 줄어들면서 신규 가입 수요가 줄었다"고 말했다.
이와 달리 약관대출 규모와 보험 해약 건수는 증가했다. 약관대출이란 보험 가입자가 보험 해지 환급금의 범위에서 대출을 받는 상품을 뜻한다.
보험연구원은 올해 초 보고서를 통해 "경기 침체기에는 소비자들의 보험료 납입 여력이 줄어들면서 보험상품을 유지하는 게 어려워져 해지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향후 경기 변화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는 중·하위 소득계층을 중심으로 보험계약 유지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소비자가 고금리 보험계약을 해지할 경우 보험사들이 기존 해지 환급금에 프리미엄을 더해 지급하는 '보험환매요구건(보험계약 재매입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윤창현 의원은 "보험환매요구권 도입으로 계약자의 상황에 따라 손실 대신 프리미엄을 받고 계약을 해지할 수 있도록 창구를 열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