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금융그룹은 금융감독원과 영국(대사관), 이화여자대학교 및 국내 주요 기업과 함께 선진화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금감원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BIS(국제결제은행)가 제시한 금융당국의 역할에 기반해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한다. 하나금융을 포함한 민간 기업들은 업종별로 기후리스크 관련 데이터 분석 및 연구개발 협력을, 이화여대는 연구 방법론과 연구모형 개발을, 영국(대사관)은 자문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하나금융을 포함한 참여 금융사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물리적 피해가 대출 등에 손실을 일으키는 '물리적 리스크'와 저탄소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융손실인 '이행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한 기후리스크 관리모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금융은 전 세계적으로 추진 중인 기후변화 대응과 저탄소경제로의 전환에 기여하기 위해 지난 4월 개최된 이사회 산하 지속가능경영위원회에서 '그룹의 2050 탄소중립 달성 계획'을 결의한 바 있다.
이를 통해 국제적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는 과학적목표관리제를 기반으로 사업장뿐만 아니라 자산 포트폴리오 탄소중립 달성 이행 경로에 따른 탄소감축목표를 수립해 지난 10월 6일 과학 기반 탄소감축목표 이니셔티브로부터 공식 인증을 획득했다.
하나금융은 오는 2023년부터는 기후변화에 따른 저탄소경제로의 전환 속에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를 영업현장에 적극 반영해 ESG 금융 지원 및 투자 확대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