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의 대사를 담당하는 간은 나빠져도 특별한 증상이 없다. 특이 증상이 나타났다면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다.
간 이식은 5㎝ 미만의 간암이 1개만 있거나, 3㎝ 미만의 간암이 3개 이하일 때 받을 수 있다.
최근 간 이식 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기준이 더 확대되는 추세다. 간 이외 악성종양이 있다면 수술이 어려우므로 수술 전 이에 대한 검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중증 기저질환이 있거나, 심한 약물이나 알코올 중독, 진행성 간염이 있는 경우에도 간 이식이 어렵다.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간담췌외과 이옥주 교수는 "수혜자 수술은 병변이 있는 간을 전부 제거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공여자의 간을 수혜자의 혈관과 담도에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공여자 수술이 복강경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공여자의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생체 간 이식의 경우 기증자의 안전 보장이 중요하다. 기증자는 원래 간의 30% 이상 남고, 이식받는 환자는 체중의 0.8% 이상의 간을 받으면 비교적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전 검사들을 통해 간 이식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절차가 꼭 필요하다.
이옥주 교수는 "기존에는 공여자와 간 이식을 받는 사람의 혈액형이 같아야 하고, 키·몸무게 등 신체 조건이 비슷해야 하는 등 조건이 까다로웠지만, 최근 '혈장교환술' 등 관리를 통해 혈액형이 다르더라도 이식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간 이식을 받은 환자는 다시 간이 나빠지지 않도록 일상생활 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특히 이식 거부 반응을 막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섭취해야 한다. 면역억제제 복용으로 감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키고, 사람이 많은 곳에 가야 한다면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또, 수술 전 B형 간염이 있던 환자는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B형 간염 항체주사(헤파빅·헤파불린)를 맞아야 한다.
이옥주 교수는 "운동은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일반인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영양을 보충해주는 것이 좋다. 알코올은 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금주가 권고된다. 한약, 건강보조식품 등은 간에 독성을 유발하므로 섭취를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