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소아청소년 코로나 중증 환자 3차 기관 전원 '별따기'…이송 대책 마련돼야"

장종호 기자

기사입력 2022-08-23 10:02 | 최종수정 2022-08-23 10:02


소아청소년 코로나19 환자가 복합적 증상 발현으로 인해 중증이 되었을 경우 3차 기관 이송에 어려움이 크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따라 조속한 이송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게 의료계의 입장이다.

대한아동병원협회(회장 박양동)는 "방역당국이 18일 소아·청소년 코로나19 누적 사망자를 44명으로 집계했는데 사망자 중 9세 이하가 65.9%로 매우 높았다"면서 "문제는 7월 이후 발병한 소아청소년 코로나19 환자 가운데 코로나 증상 이외에 경련 등 중중 환자로 분류돼도 3차 기관 이송을 위한 병상 찾기가 하늘의 별따기로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따라서 아동병원협회는 "코로나19 환자 중증 응급 의료전달체계의 문제로 전원이 안 되는 상황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진행해 문제점을 개선해야 소아청소년 코로나19 중증 환자의 치료 시스템이 개선될 수 있으며 이는 나아가 환절기에 접어드는 9월 이후 독감 유행 등에도 철저한 대비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양동 회장은 "아동병원에 입원 중인 코로나19 환자가 경증에서 중증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응급인데 이 경우 3차 의료기관으로 전원돼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방역 당국에 병상 확인 등을 해도 묵묵부답"이라며 "이때 아동병원에서는 대학 선후배 등 인맥을 통해 사정 사정해 어렵게 중증 소아청소년 코로나19 환자를 전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양동 회장은 "방역 당국에서는 3차 의료기관 코로나19 환자 병상 확보, 당직병원 운영 등 대책을 발표하며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하는데 아동병원 진료 현장에서 이같은 일이 일어나는 것은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더 큰 일이 일어나기 전에 코로나19 중증 환자 전원 치료 시스템을 점검해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박양동 회장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