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정신건강 및 주요 만성질환 지표가 악화됐지만, '걷기실천율'이 다시 늘고 '건강생활실천율'은 팬데믹 이전을 넘어서는 등 건강 유지 노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적인 감염병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만큼, 이번 위기가 지속적인 건강관리의 계기가 될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우선, 최근 1년 동안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우울감(슬픔이나 절망감 등)을 경험한 사람의 분율인 '우울감 경험률'은 2019년 5.5%→2020년 5.7%→2021년 6.7%로 늘었다. 평소 일상생활 중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또는 '많이' 느끼는 사람의 분율인 '스트레스 인지율'도 2019년 25.2%에서 2020년 26.2%로 상승 후 2021년 26.2%를 유지했다.
|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사람의 분율인 '비만율(자가보고)'은 2018년 31.8%에서 2020년 31.3%로 소폭 감소했다가 2021년 32.2%로 다시 늘었다.
고혈압 진단 경험률(의사에게 고혈압을 진단받은 30세 이상 사람의 분율)도 2019년 19.4%에서 2020년 19.2%로 소폭 하락했다가 20201년 다시 20.0%로 올랐다. 단, 30세 이상 고혈압 진단 경험자의 치료율은 2019년 91.7%에서 2020년 93.1%로 1.4%p 증가했고, 2021년엔 93.3%로 소폭 증가(0.2%p)했다.
한편 개인위생 측면에서는 2020년 크게 개선됐던 지표가 코로나19 장기화에 대한 피로감 등으로 지난해 다시 느슨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은 2019년 85.5%에서 2020년 97.6%로 급등했다가 2021년엔 94.5%로 떨어졌다. 비누나 손 세정제 사용률 역시 2019년 81.3%→2020년 93.2%→2021년 89.3%로 오르내렸다.
|
만성질환 지표는 악화됐지만, '망가진 몸 상태'를 끌어올리기 위한 '각성 효과'도 나타났다.
우선 걷기실천율과 건강생활실천율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 악화됐다가 이듬해인 2021년엔 코로나19 유행 전 수준으로 회복 또는 그 이상으로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금연·절주·걷기를 모두 실천하는 '건강생활실천율'은 2019년 28.4%에서 2020년 26.4%로 감소했다가, 2021년에는 29.6%로 올라 코로나19 유행 전수준을 넘어섰다.
|
|
이와 함께 흡연과 음주도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면서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을 반영했다. 평생 5갑(100개비) 이상 흡연한 사람으로서 현재 흡연하는 사람('매일 피움' 또는 '가끔 피움')의 분율을 나타내는 '현재흡연율'은 2019~2021년 20.3%→19.8%→19.1%로 꾸준한 감소세를 보였다. 또한 최근 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술을 마신 적이 있는 사람의 분율인 '월간음주율' 역시 2019년 59.9%에서 2020년 54.7%로 뚝 떨어졌고, 2021년에는 53.7%까지 낮아졌다.
정은경 질병관리청 청장은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됐던 지난 2년 동안 일부 건강행태와 정신건강, 당뇨병 관리지표의 지속적 악화추세를 확인했다"면서,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면서 걷기실천율, 건강생활 실천율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등 건강 유지 노력을 해 온 것으로 파악됐으나, 코로나 유행 시 나빠진 지표의 추가적 악화를 막기 위해서는 보건정책 수립과 시행에 중앙 및 지방정부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