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 10개월간의 휴장 후 지난 11월 4일(42회차)에 재개장한 경정은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격상됨에 따라 다시금 임시 휴장에 들어갔다. 하지만 재개장 이후 3주간의 경주에서 보여준 선수들의 실력은 기대 이상이었다는 게 많은 전문가들의 평이다. 뚜껑을 열기 전까지는 공백기가 길었던 만큼 선수들의 실전 감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지만 지난 3회차의 경주를 보면 기우에 불과했다. 특히 이름이 알려진 강자들 보다는 그동안 크게 돋보이지 않았던 선수와 16기 신인 경주에서 신선하고 박진감 넘치는 경주 내용을 선보였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나종호(B2·27)와 홍진수(B2·28) 최인원(B2·31) 등에게 가려져 빛을 보지 못했던 전동욱(B2·30) 역시 팬들에게 자신의 존재감을 확실하게 각인시켰다. 재개장 첫날 1경주에서 시속을 살린 인빠지기로 데뷔 첫 우승과 함께 쌍승식 22.6배를 기록했고 44회차에서도 연속 입상에 성공하며 관심 선수로 손색없는 경기력을 선보였다.
신인 선수 못지않게 두각을 나타낸 선배 선수들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원용관(4기·B1·46)을 손꼽을 수 있겠는데 올해 3회차 우승 2회와 준우승 1회에 이어 지난 42회차 2연승, 43회차에서는 2착과 4착을 거뒀다. 현재 착순점과 득점이 6.44이며 승률 57%, 연대율 86%로 올해 성장세가 확연하다. 지난 44회차의 김태규(10기·A1·37)는 우승 1회와 2착 2회로 출전 경주 모두를 싹쓸이했고 권일혁(6기·B1·40) 또한 한 차례씩 우승과 준우승 그리고 3착을 기록해 100%의 삼연대율이라는 큰 성과를 냈다. 고정환(14기·B2·34) 역시 1회차 2착에 이어 43회차 두 번의 출전에서 모두 2착을 기록해 현재 3연속 입상 중이다.
임병준 쾌속정 예상분석전문가는 "휴장기 동안 힘들지 않았던 선수는 없었다. 누구나 더 높은 순위를 차지하길 바라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확정검사와 소개항주 시 모터의 시속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면 기량이 다소 부족해도 얼마든지 입상을 할 수 있다는 전제를 두고 경주를 추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며 "당분간 그동안의 편견을 버리고 편성에 따라 공격적인 추리를 한다면 기쁨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니 탄력적인 전략을 세워서 접근할 필요성도 있다"고 조언했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틱톡-청룡영화상 투표 바로가기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