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000회 이상 외래 진료를 받은 21세 남성이 납입한 보험료는 151만원이지만,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이 부담한 금액은 3200여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의료 기관 외래 진료일수 상위 10명 중 7명이 20대 이하였고, 30대 1명, 40대 2명으로 대부분 젊은층이였으며 이들은 상급 종합병원은 거의 이용하지 않고 대부분 한의원에서 집중적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4세 남성은 192개나 되는 서로 다른 의료기관을 384번에 걸쳐 이용하는 등 의료 쇼핑이 의심되는 사례도 있었다.
신 의원은 "지속가능한 건강보험 제도 유지를 위해 과다이용에 대한 심층 사례 분석이 필요하다"며 "다빈도 외래 이용자들에 대해 건강염려증, 의료쇼핑 등 불필요한 의료 이용 사례는 아닌지, 이를 악용하는 의료기관은 없는지 공단과 심평원이 철저하게 조사하여 적극적인 대안 마련을 해야한다"고 밝혔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