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생애금융보고서 '대한민국 퇴직자들이 사는 법'을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조사 결과, 퇴직자들은 생활비로 평균 월 252만원 지출하며, 3명중 2명은 생활비를 28.7% 줄였다. 이들은 괜찮은 생활수준을 위해 월 400만원 이상 필요하다고 보고 있었다.
퇴직자 중 절반(55.1%)은 재취업(37.2%)이나 창업(18.9%)을 했고, 미취업자 역시 65%는 경제활동을 준비중인 취업 대기자다. 배우자도 절반 이상(58.6%)은 일을 하면서 가구 단위로 보면 경제활동 비중은 84.8%로 높아지며, 이때 경제활동 수입은 평균 393.7만원이다. 그러나 퇴직자 중 36.4%는 일을 그만두면 당장 또는 1년 이내에 형편이 어려워 질 수 있다는 걱정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자 중 65%는 직장에서 물러난 뒤 심적인 후유증을 겪는다. 퇴직 후유증은 남성이 더 많이 겪는데, 55세 이전 조기퇴직 한 남성일수록 '가장으로서 압박감'으로 인한 후유증에 시달렸다. 이들은 주로 일을 재개하면서 후유증을 털어냈다. 후유증을 겪는 사람에게는 가족의 위로와 격려도 큰 도움이 된다. 배우자와 관계가 좋을수록 후유증을 덜 겪는다.
평소 건강관리 위한 운동과 1년 2~3번 여행이 평균적인 여가모습이다. 퇴직자들은 여가활동에 평균 하루 2.6시간, 지출액은 평균 월 14만원을 쓰며, 주로 배우자와 함께한다. 퇴직자 대부분(60.8%)은 여가가 종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줄었다고 답한다. 여가를 즐기기에 돈이 부족하거나(47.9%), 일하느라 시간이 부족한(31.3%) 현실 때문이다.
한편 100년 행복 연구센터는 퇴직자들 가운데 노후자금이 충분하다고 스스로 평가한 사람들을 '金퇴족'으로 정의했다. 金퇴족은 전체 응답자 가운데 8.2%를 차지했다. 100년 행복 연구센터는 이들이 노후걱정 없이 당당하게 퇴직할 수 있었던 비결을 ▲ 이른 연금 가입 시기 ▲ 투자금융자산 활용 ▲ 지속적인 정보 수집 및 자금 운용 ▲ 주택 외 추가 부동산 소유 등으로 꼽았다.
조용준 센터장은 '퇴직 이후 전문적인 자산관리가 더 절실해진다'며, '노후자금 관리부터 자녀결혼, 부동산 활용, 간병·상속 대비까지 여러 이슈에 차례로 마주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