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경상수지 흑자폭이 9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증가로 전환했다.
수출 경기는 미중 무역갈등과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2018년 11월쯤 악화하기 시작했다.
작년 11월 상품수지 흑자는 73억9000만달러로 1년 전의 75억달러보다 1억1000만달러 줄었다. 작년 10월 흑자가 전년 동월 대비 24억9000만달러 줄었던 것과 비교하면 감소폭이 크게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18억9000만달러 적자로 적자폭이 전년 같은 달보다 3억달러 줄었다.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여행수지가 개선된 영향이 컸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 적자폭은 9억5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적자폭이 4억달러 감소했다.
중국인과 동남아시아인을 중심으로 외국인 입국자 수가 1년 전보다 7.9% 증가한 가운데 일본 여행 감소로 내국인 출국자 수가 9.0% 감소한 영향이다.
직접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41억5000만달러 늘었다. 금융·보험업, 부동산업을 중심으로 해외 직접투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외국인의 국내투자도 1억4000만달러 늘었다.
한편 미국과 이란 간 갈등이 악화해 국제유가가 계속 상승할 경우 경상수지에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한은 관계자는 "이란 사태로 유가가 계속 오른다면 경상수지에는 마이너스(-) 요인이 될 것"이라며 "수출·수입물량이 변함없다고 가정할 때 국제유가가 10달러 오르면 경상흑자는 90억달러 감소한다"고 밝혔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