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글로벌 성장엔진으로 떠오르는 아시아…韓, 고성장 신흥 7개국 포함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19-07-15 14:07


아시아 지역이 글로벌 성장엔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40년을 기점으로 글로벌 소비재 등의 생산과 소비시장을 주도한다는 것이다. 한국은 아시아 국가중 고성장 신흥 7개국에 포함됐다.

글로벌 컨설팅 전문업체인 맥킨지&컴퍼니는 15일 '아시아의 미래(Asia's future is now)' 보고서를 통해 2000년까지만 해도 아시아가 각국 물가를 감안한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 전세계 국가의 국내총생산(GDP) 합계의 30% 정도를 차지하는 데 그쳤지만 2040년에는 절반 이상에 달하는 동시에 소비의 40%가량을 떠맡을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아시아가 무역·네트워크, 기업생태계, 기술, 소비자 등 4개 영역에서 세계 경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얘기다.

맥킨지&컴퍼니는 아시아가 최근 상품무역보다 서비스무역 성장 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기업생태계 측면에서도 지난해 미국 유력 경제지 '포천'이 선정한 글로벌 500대 기업 가운데 210개가 아시아 기업이었고, '최상위 성과 기업'(경제적 이익 기준 상위 20%)에서 차지하는 아시아 기업의 비중도 점차 확대되는 등 아시아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비자 측면에서는 내년에 아시아의 중산층이 30억명을 돌파하면서 전세계 중산층의 절반을 차지하고, 앞으로 10년간 아시아가 전세계 소비 성장분의 절반 정도를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맥킨지글로벌연구소(MGI)가 71개 신흥경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지난 50년간(1965∼2016년) 1인당 경제성장률이 매년 3.5% 이상이고 미국 성장률을 웃돈 '고성장 신흥국'을 선정한 결과 7개국(한국, 중국, 홍콩,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이 모두 아시아 국가였다.

올리버 톤비 맥킨지 아시아총괄회장은 "21세기는 세계의 중심축이 아시아로 이동하는 세기가 될 것"이라며 "산업 및 시장의 리더들은 장기 전략을 구상할 때 미래 아시아의 모습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