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의 아파트 가격은 이미 거품이 끼어있고 강북은 거품이 있는 상태에 근접해 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실러 교수는 자산의 내재가치 변동성이 실제 매매가격의 변동성보다 작으면 매매가격에 거품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아파트 내재가치를 전세가격으로 삼았는데 전세가격은 아파트에 거주하면서 누릴 수 있는 서비스의 현재가치로, 아파트의 내재가치와 개념적으로 유사한 점을 이유로 들었다.
강남과 강북 지역을 구분해 보면 2000년대 중반을 제외하고는 양 지역에 거품이 존재하던 시기는 거의 유사하다.
단, 최근 강남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미 거품이 있는 상태가 시작됐지만 강북은 거품이 있는 상태에 근접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강남은 2000년대 내내 거품이 있는 상태였으나 강북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에 거품이 없었던 시기가 있었다.
다만 보고서는 이런 실증방법이 시장참여자가 합리적이고 위험에 중립적이며, 사용된 통계자료가 정규분포여야 하는 등 많은 가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번 분석만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의 거품 여부를 단정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