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이마트 노브랜드 청년상생스토어 27일 선산봉황시장에 오픈…새로운 유통모델 선보여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17-06-27 16:14



20년 넘게 비어있던 전통시장 2층이 '전통시장 활성화'와 '청년상인 지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새로운 '상생형 유통모델'로 재탄생한다.

이마트는 27일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에 있는 선산봉황시장에 청년상인들로 주축이 된 '청년몰'과 함께 '노브랜드 청년 상생스토어'를 오픈한다고 밝혔다.

이마트의 노브랜드 상생스토어는 지난해 8월, 충남 당진전통시장에 이어 두 번째다. 당진전통시장이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간의 2자 협업의 형태였다면, 이번에 오픈하는 구미에서는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청년상인들이 함께 어우러진 삼각편대다. 전통시장의 활성화는 물론 청년 창업이라는 새로운 모델까지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기대가 크다.

진화된 상생모델은 선산시장에서 점포를 운영 중인 30대 청년상인인 김수연씨(39세)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됐다. 조선시대 5일장으로 시작된 선산봉황시장은 지난 1993년 지금과 같은 현대식 건물로 탈바꿈한 이후 1층에 106개의 점포가 상시 운영되는 경북의 유서 깊은 시장이다. 선산시장 500평(1652㎡) 규모의 A동 2층이 24년간 공실로 방치되자 김수연씨는 시장 상인회를 설득, 이마트에 직접 '상생협업'을 요청해 그 결실을 맺었다.

이마트는 선산봉황시장 A동 2층, 1650㎡(약 500평)중 420㎡(약 125평)을 '노브랜드 상생스토어'로 꾸미고, 그 바로 옆에는 17명의 청년상인이 운영하는 청년몰이 250평 규모로 들어선다. 또한, 나머지 공간은 다양한 장난감을 갖춘 '어린이 놀이터'와 '고객쉼터시설' 등이 들어서며, 젊은 고객의 방문이 늘어나고 고객들의 체류시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 곳은 상생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청년몰을 거쳐야만, '노브랜드 상생스토어'로 갈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이마트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판매하는 품목도 시장상인회와 세밀하게 협의했다. 기본적으로 선산봉황시장의 영업활성화를 위해 전통시장의 주력 상품인 신선식품은 판매하지 않고, 가공식품과 생활용품만 판매하는 것은 기존의 당진 상생스토어와 같다. 하지만, 전통시장 상인회가 시장의 약점으로 지적됐던 수산물 판매를 요청해와 생선과 조개 등 일부 수산물을 구비해 시장 전체의 상품구색을 보완했다. '전통시장' = '신선식품'이라는 통념에서 벗어나 전통시장의 약점을 보완, 시장 전체의 경쟁력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 품목 하나하나까지 세밀하게 협의한 결과다.

이마트는 '노브랜드 청년 상생스토어'와 같은 날 오픈하는 청년상인들이 운영하는 청년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도 최선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청년몰을 거쳐야 '노브랜드 청년상생스토어'를 찾을 수 있도록 동선을 설계했을 뿐만 아니라 상생스토어가 발행하는 전단에 청년몰 콘텐츠도 함께 담을 계획이다. 또한, 사은품 증정 행사에는 이마트가 모든 사은품 비용을 부담, 청년몰·선산시장·상생스토어 구매금액을 모두 합산해 사은품을 증정하는 등 '운명 공동체'로 성장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5월 청년몰과 함께 '노브랜드 상생스토어' 개설 소식이 알려지면서,목표정원의 절반인 11명의 청년상인을 유치하는데 그쳤던 선산시장 청년몰 사업은 6명이 추가로 합류했고 최근에도 많은 지원문의가 있어목표 정원(22명)을모두 채울 전망이다.

이마트 이갑수 사장은 "지난해 당진전통시장에 첫 선을 보인 노브랜드 상생스토어가 청년상인과 협의를 통해 더 나아진 형태의 상생 모델로 진화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경제주체들과 함께 지혜를 모아 진정한 상생을 이룰 수 있는 방식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스포츠조선 바로가기[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